본문 바로가기

EPIDEMIOLIGY/Journal review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Phthalate Exposure and the Intelligence of School-Age Children

 

Introduction

  • 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PVC)이나 비닐에서 가소제나 연화제로 사용되는 내분비 교란제로서 정상적인 뇌 발달을 변화시킬 수 있음
  • 프탈레이트가 어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생식 시스템(Lottrup et al. 2006), 출생 체중 감소(Wolff et al. 2008), 알레르기 및 천식과의 양성 연관성(Bornehag 2004; Kolaik 외 2008) 등과 신경 발달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지만 태아 프탈레이트 노출과 인간의 신경학적 효과 사이의 연관성을 보고한 연구 거의 없음
  • 프탈레이트 대사물과 성별 간의 유의한 상호 작용 발견; 2007년 예비 학령기 아동 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납과 망간의 환경 수준이 학령기 아동의 지능에 부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미칠 수 있고 ADHD 증상과의 연관성을 발견
  • 본 연구;는 더 큰 표본으로 아이들과 그들의 어머니 모두를 인터뷰한 단면 연구

 

Materials and Methods

Study protocol and recruitment.

  • 2008년 4월~10월
  • "공해가 신경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및 미래 정책"이라는 2차 연구 (Eco-Technopia 21 프로젝트)
  • 우리는 혈액 내 납, 수은, 망간과 소변 내 코티닌, 프탈레이트 대사물 평가
  • 일반지능, 주의력, 집중력 등 아이들의 신경 인지 기능 평가
  • 산모 IQ와 아동 발달 상태 평가하고, 여러 가지 정신 질환이 있는지 검사
  • 환경 관련 정보: 주택의 종류, 주택 내 방 수, 살충제 및 유기인산 노출, 도로와의 거리, 산업과의 근접성, 인근 소각장 존재, 공기의 질, 애완동물, 간접흡연 노출, 식이요법 등
  • 참가자 모집: 서울, 성남, 인천, 울산, 연천의 대표하는 학교 1~3개(총 9개)의 3, 4학년 아이들과 학부모 (참여 사전동의율, 66.7%)

Measuring children’s cognitive functioning. 

  •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KEDI-WISC): 어휘, 산술, 그림 배열 및 블록 설계 테스트의 척도로 구성되어 지적 기능에 대한 세계적인 추정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
  • Verbal IQ: 산술 및 어휘에 대한 연령 조정 t-점수의 합계
  • Performance IQ (PIQ): 블록 설계와 그림 배열에 대한 점수 합계
  • 연구 간호사와 아동정신과 전문의(H.-W.K.)가 모든 원시 데이터를 검토하여 각 피험자의 IQ 점수 확인
  • 엄마들에게는 한국 윅슬러 성인 지능 척도(K-WAIS)의 짧은 형태 시행

Determining phthalate metabolites in urine.

  • primary metabolite of dibutyl phthalate
  • mono-n-butyl phthalate (MBP)
  • two secondary metabolites of DEHP
  • mono-2- ethylhexyl phthalate (MEHP)
  • mono(2- ethyl-5-oxohexyl)phthalate (MEOHP)

Statistical analyses.

  • Student t-test
  • 분산 분석(ANOVAs)
  • the chisquare test
  • linear regression analysis: 프탈레이트(MEOHP, MEHP, MBP) 농도와 WISC IQ 점수 간 연관성
  • 로그 변환(ln)
  • covariate: 연령, 성별, 출생 체중, 모유 수유 이력, 주거 지역, 사회경제적 지위(SES) 및 부성 교육 수준
  • 모성 IQ가 있는 모델과 없는 모델 제시
  • 성별 분산 분석

 

Results

Discussion

본 연구에서는 모성 IQ를 조절하는 것이 프탈레이트와 IQ 사이의 연관성의 효과 크기에 큰 영향을 미쳤다. 모성 IQ는 프탈레이트 대사물의 수준에 의해 반영될 수 있는 환경 노출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동시에, 모성 IQ는 아이의 IQ에 영향을 미치지만, 모성 IQ 조정 후 MEHP, MEOHP와 DEHP의 2차 대사물의 합이 아이들의 어휘 점수와의 역관계를 보여주었다.

Limitations

  1. 소변에서 측정 가능한 최소 16개의 프탈레이트 대사물을 중 3개만 측정
  2. 프탈레이트의 대사와 배출이 빠르기 때문에 단일 측정이 만성 노출의 수준과 심각도를 반영할 수 없을 수 있음
  3. 모성의 노출 수준을 평가하지 않음
  4. 가정환경의 수준과 자극은 잠재적인 교란 요인이 될 수 있음

MEHP는 핵 수용체 활성화를 통해 과산화물 증식자 활성 수용체 α(PPARα) 활성화: PPAR의 리간드는 지질 대사, 세포 증식, 염증 반응에서 역할을 하며 염증, 수지상 및 내피 세포로 널리 표현. 신호 전달 경로는 최근 신경 퇴행성 및 정신 질환의 진행, 인지 기능과 관련이 있음
프탈레이트 노출은 성인 남성과 임산부의 갑상선 활동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 신생아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인지에 영향을 미치듯이, 하위부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아동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Conclusion

어린이들은 정상적인 피부를 통한 섭취, 흡입 및 흡수를 통해 프탈레이트에 노출될 수 있으며, 프탈레이트에 오염된 의료기기에 노출될 수 있음. 본 연구에서, 모성 IQ와 다른 공변량을 통제 하에 프탈레이트 대사물과 IQ 점수 사이의 역 관계를 보여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