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기 작성된 내용들은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강의 자료와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무단 공유 및 배포를 금합니다.'
조사망률
- 주어진 기간 동안 평균인구의 단위 인구 당 발생한 사망자 수
- 조사망률 = 동일 기간의 전체 사망자 수 / 주어진 기간의 평균 인구 * 1,000
영아사망률
- 주어진 기간 동안 출생한 출생아 수 1000명 당 동일 기간 발생한 1세 미만의 사망자 수
- 감염, 영양, 산전/후 관리 등의 관리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국가 간 의료서비스를 비교하는 지표로 사용
- 영아사망률 = 동일 기간 중 1세 미만 사망자 수 / 주어진 기간의 출생아 수 * 1,000
신생아사망률
- 영아: 출생~1세 미만
- 신생아: 출생~28일 미만
- 신생아사망률 = 동일 기간 중 28일 미만 사망자 수 / 주어진 기간의 출생아 수 * 1,000
영아사망률과 신생아사망률의 비가 1에 가까울수록 건강수준이 높음
주산기 사망률 = [동일 기간 태아 사망수 + 생후 1주 이내의 신생아 사망 수] / 주어진 기간의 총 출산아 수 (태아사망 포함) * 1000
모성 사망률 = 동일 기간의 임신, 분만, 산욕의 합병증에 의한 사망자 수 / 주어진 기간의 출생아 수 * 100,000
특수 사망률
- 주어진 기간 동안 인구집단에서 인구 특성별로 구한 사망률
- 성별 사망률, 연령별 사망률 등
- 특수사망률 = 동일기간 해당 집단의 사망자 수 / 주어진 기간 특정집단의 평균 인구 * 1,000
- 연령별 특수사망률 = 특정 연령군의 사망자 수 / 특정 연령군의 인구 * 1,000
- 사인별 특수사망률 = 그 기간 특정 원인으로 인한 사망자 수 / 주어진 기간의 평균인구 * 1,000
비례 사망지수
- 보통 사망률, 평균 수명과 함께 국가간 건강수준 비교 지표로 이용
- 비례사망지수 = 그 연도의 50세 이상 사망자 수 / 어떤 연도의 사망자 수 * 100
비례사망률
- 비례사망률 = 그 연도의 특정질환에 의한 사망자 수 / 어떤 연도의 사망자 수 * 100
- 두 집단 간 특정원인의 사망위험을 비교할 수 없음
치명률
- 질병이 생명을 영향을 주는 위험도와 치료법의 발달 정도를 나타내 주는 지표
- 치명률 = 그 기간동안 동일 질병에 의한 사망자 수 / 어떤 기간 동안 특정 질병이 발생한 환자 수 * 100
인구재생산지표
- 모성과 아동의 건강영역에서의 측정지표
- 조출생률 = 그 연도의 출생아 수 / 어떤 연도의 평균 인구 * 1,000 ; 가장 현실적이고 종합적인 지표
- 일반출산율 = 그 연도의 출생아 수 / 어떤 연도의 15~49세 여자의 평균 인구 * 1,000 ; 가임기 여성 1,000명 당 출생률
- 연령별 출산율 = 그 연도의 동일 연령층 여자가 낳은 출생아 수 / 어떤 연도의 특정 연령층 여자의 평균 인구 * 1,000 ; 여성 한 명이 평생동안 낳을 수 있는 평균 자녀 수
- 합계출산율
'CLASS > 예방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rvival Analysis (0) | 2020.12.09 |
---|---|
회귀분석 (0) | 2020.12.08 |
질병 및 사망의 측정 (0) | 2020.10.12 |
환경의 개요 및 주요 환경노출 사건 (0) | 2020.10.09 |
질병발생 모형 (0) | 202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