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ASS/예방의학

질병 및 사망의 측정

'하기 작성된 내용들은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강의 자료와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무단 공유 및 배포를 금합니다.'

 

역학 연구에서 무엇을 측정할 것인가

  • 빈도 측정 Frequency Measures: 인구집단에서 질병, 불구, 사망 등의 규모를 측정하는 것 (ex. 유병률, 발생률, 사망률 등)
  • 관련성 측정 Measures of Association: 위험요인과 질병과의 통계학적 관련성 측정 (ex. 비교위험도)
  • 영향력 측정 Measures of Impact: 위험요인이 인구집단의 질병빈도에 기여하는 정도를 측정 (ex. 기여위험도)

빈도 측정값 산출 방법 - 비, 분율, 율

비 Ratio

  • 하나의 측정값 을 다른 측정값으로 나눈것
  • A : B 혹은  A / B의 형태
  • 분자는 분모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분자가 분모에 포함되는 구성비와 구별
  • 시간 개념이 적용되지 않고 모집단의 개념이 결여되어 있으나 표시 방법이 간단하다는 장점
  • 예) 2009년 기준 세계 성비(여자1명당 남자 수) 1.01, 사산비(사산아 수/출생아 수), 모성사망률 등

분율 Proportion

  • 분자가 분모에 포함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백분율로 표현
  • A / (A + B) 의 형태
  • 측도는 분바와 분모의 단위가 같기 때문에 단위가 없으며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짐
  • 예) 2010년 전체 사망자 중 암으로 인한 사망자 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시점 유병률, 치명률, 이환율, 기여위험도 등

율  Rate

  • 분율의 분모에 시간의 개념이 포함된 것
  • A / (A + B) * 시간
  • 분율과 달리 단위가 있으며, 범위는 0에서 무한대
  • 속도의 개념을 포함
  • 시간개념: 인년, 인월...
  • 예) 발생률, 발병률, 기간 유병률, 사망률 등

 

이환지표 - 발생률, 유병률, 발병률

유병률

  • 시점 유병률 point prevalence
    • $P_t = C_t / N_t $
    • $P_t$ : $t$ 시점 유병률
    • $C_t$ : $t$ 시점에서의 유병자 수
    • $N_t$ : $t$ 시점에서의 전체 대상자 수
  • 기간 유병률periodprevalence
    • $PP = C ( T_0 \rightarrow T ) / N =  ( C_0 + I ) / N$
    • $PP : ( T_0 \rightarrow T ) $ 동안의 기간 유병률
    • $C ( T_0 \rightarrow T ) :$ 기간 동안의 유병자 수
    • $C_0 : $ 관찰 시작시점에서의 유병자 수
    • $I$ : 기간에 발견된 유병자 수
    • $N$ : 전체 대상자 수 (기간 동안의 평균 인구 수)
  • 유병률 증가 요인
    • 질병 이환기간 연장
    • 완치되지 않고 생존 기간만 연장되는 경우
    • 새로운 환자 증가 (질병발생 증가)
    • 환자의 유입
    • 건강인의 유출
    • 질병 감수성자의 유입
    • 진단시설 확충 (보고율 증가)
  • 유병률 감소 요인
    • 질병 이환기간 단축
    • 치명률이 높을수록
    • 새로운 환자의 감소 (질병발생 감소)
    • 건강인의 유입
    • 환자의 유출
    • 완치율 향상

발생률

  • 누적발생률
    • 일정 기간 동안에 질병에 걸리는 사람들의 분율
    • 관찰 시작 시에 질병발생 위험에 폭로된 사람 전체를 연구기간 동안 추적관찰한다는 가정
    • 관찰기간이 명시되어야 하며 이 기간은 질병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음
    • (특정 기간 내 새롭게 질병이 발생한 환자 수)/(동일 기간 내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 있는 인구 수) * 시간
    • competing risk
    • follow-up loss
    • 발생자 간 기간 차이 구분 없음
  • 발생밀도: 평균 발생률
    • 연구대상자의 관찰기간이 다른 것을 감안하고, 어떤 일정한 인구집단에서 질병의 순간 발생률을 측정하는 것
    • ID = (관찰기간 동안 인구집단에서 새로 발생한 특정질병의 수)/(그 기간동안 질병발생 위험에 폭로된 집단의 인시)

발생률과 유병률의 상호관계

  • 인구집단에서 유병률과 발생률이 일정하면서 드문 질병이라면
    P = I * D (P:유병률, I:발생률, D: 평균 이환기간)
  • 상대적으로 측정하기 쉬운 유병률과 질병 이환기간에 대한 정보로부터 발생률 추정

발병률

  • 어떤 집단이 한정된 기간동안 어떤 질병에 노출 위험이 있는 사람 중 그 질병이 발생한 사람의 분율
  • 발병률 = 질병 발생자 수 / 유행기간 중 원인요인에 노출된 인구
  • 이차발병률 = 질병 발생자 수 / 환자와 접촉한 감수성있는 사람 수
  • 이차발병률은 병원체의 감염력 및 전염력의 간접적 지표

 

율의 표현

  • 조율 crude rate: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표현되는 종합적 지수 = 대상 인구집단에서의 환자 수 / 전체 인구 수 
  • 특수율 specific rate: 연령, 성별, 흡연여부 등 특정 요인에 의하여 소집단으로 구분한 후 각 소집단의 율 

율의 표준화 필요성

  • 두 집단의 질병 사망(발생)율 비교
    • 조율은 인구 구조의 영향을 받음
    • 특수율은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한 눈에 비교 어려움
  • 표준화율 (보정율): 인구 구조의 영향을 보정한 후에 집단 전체를 하나의 값으로 측정한 율

표준화 방법

  • 간접법: 한 군의 연령별 특수사망률을 모르거나 적은 인구 수로 인해 연령별 특수사망률이 불안정할 때 사용 
    1. 표준률(연령별 율)을 선정한다. 
    2. 연령별 표준률을 비교하고자 하는 집단 개개 연령군에 적용; 비교하고자 하는 집단 각각에서 기대수(expexted number) 산출
    3. 실제 관찰된 빈도 총 수(observed number)를 기대 총 수로 나눈다.; 표준화비(standardized mortality (incidence, prevalence) ratio, SMR) 산출
    4. 표준율의 전체 율에 표준화 비를 곱한다.; 표준화 률 (발생, 유병, 사망) 산출
      표준화 사망비 = 어떤 집단에서 관찰된 총 사망자 수 / 이 집단에서 예상되는 총 기대 사망 수

 

  • 직접법 
    1. 표준집단(인구)를 선정한다. ; 연령별 인구 수(구조)를 알아야 한다.
    2. 비교하고자 하는 두 집단의 연령별 율을 표준인구에 적용한다. ; 표준인구에서의 연령별 기대빈도 산출
    3. 연령별 기대 빈도수를 합하고 표준집단의 총 수로 나눈다. ; 표준화율이다.

      $\sum_{k=1}^K \text{연령별 유병률} \times \text{연령별 표준인구비율} $
      $\sum_{k=1}^K \frac{\text{연령별 유병률} \times \text{연령별 표준인구비율}}{\text{표준인구 합}} $

'CLASS > 예방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귀분석  (0) 2020.12.08
사망 및 출생지표  (0) 2020.10.13
환경의 개요 및 주요 환경노출 사건  (0) 2020.10.09
질병발생 모형  (0) 2020.10.08
예방의학 소개  (1) 2020.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