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ASS/예방의학

감염질환의 역학 2

'하기 작성된 내용들은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강의 자료와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무단 공유 및 배포를 금합니다.'

 

감염병 관리원칙과 에방접종

감염병 관리

감염병 생성 과정 6단계 중 특정 단계 혹은 여러 단계에 대한 개입을 통하여 감염병이 발생하지 못하게 하는 것

  • 병원체와 병원소 관리
    • 감염병 관리의 가장 확실한 방법
    • 감염병 발생의 1차 원인인 병원체 또는 병원체의 생존과 증식에 필요한 병원소를 제거
    • 동물이 병원소인 경우 살처분, 사람이 병원소인 경우 환자나 보균자를 신속하게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하거나 격리
  • 전파과정의 차단
    • 검역
      • 감염병 유행지에서 들어오는 사람에 대하여 유행지를 떠난 날부터 계산하여 병원체의 잠복기 동안 일정한 장소에 머물게 하거나 유숙하는 곳을 신고하도록 하여 질병 발생 여부를 보다 적극적으로 감시하는 것
      • 해당질환: 콜레라, 페스트, 황열, 중증갑성호흡기증후군, 조류인플루엔자, 신종인플루엔자, 중동호흡기증후군 등
      • 검역기간: 감염이 의심되는 시점부터 해당 감염병의 최대 잠복기간
    • 격리 isolation
      • 감염병을 전파시킬 우려가 있는 감염자를 전염력이 없어질 때까지 감수성자들로부터 떼어 놓는 것
      • 격리기가니 질병의 감염가능 기간 즈기, 환자나 보균자에서 균 배출이 되지 않을 때까지 격리 - 콜리라, 세균성 이질의 경우 항생제 치료 종료 48시간이 지난 후부터 24시간 간격으로 2회 연속 대변배양검사가 음성일 때까지 격리
      • 숨기는 사례, 신고가 되지 않거나 임승증상이 경미하여 모르고 지나친 사례, 불현성 감염자, 잠복기과 회복기 보균자 등이 있어 전파를 완전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사례 등 조심
    • 위생관리
      • 병원소를 탈출한 병원체는 새로운 숙주로 들어가기까지 상당한 기간을 외부 환경에서 생존해야 하므로 위생조건을 개선하여 전파 과정을 차단
        • 환경위생
          • 환자 배설물의 위생적 처리와 안전한 식수 및 식품공급
          • 환자가 있던 장소와 사용한 물건에 대한 소독
        • 식품위생
        • 개인위생
          • 식수 및 식품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한 손 씻기
          • 육체적 접촉이나 비말 전파와 같은 직접전파의 예방
          • 감염병 매개 절지동물이나 동물과의 접촉을 피하는 방법
          • 개인이 감염병에 걸릴 위험성을 극소화시키는 행동
  • 숙주 관리
    • 숙주 면역 증강: 예방접종 및 톡소읻 혹은 면역글로불린 투여 등
    • 환자 조기 발견 조기치료

 

예방접종의 의미와 역학적 효과 판정

  • 예방접종의 역학적 의미
    • 예방접종을 통하여 지역사회 집단면역 수준을 높이게 되면 지역사회에서 해당 감염병의 유행 발생을 막을 수 있다. 특히 인간만이 숙주인 경우 감염병을 퇴치할 수 있다.
    • 지구상에서 예방접종을 통해 박멸된 감염병; 인간의 두창, 가축(소 등)의 우역
    • 2000년 WHO 폴리오 박멸 인준을 위한 지역위원회에서 우리나라를 '폴리오 전염이 없는 지역'이라고 선언
    • 예방접종의 기본 원칙
      • 예방접종의 예방효과: 제조회사가 임상시험을 통해 입증
      • 예방접종의 안전성: 이상반응의 빈도 및 심각성
      • 예방접종의 유용성(대상질환의 질병부담): 자연감염의 증상이 심하지 않거나 자연감염의 예빵효과가 저종에 의한 면역보다 좋은 경우, 질병의 발생률이 매우 낮은 경우는 유용성이 떨어진다.
      • 예방접종의 비용-편익, 비용-효과
      • 예방접종 방법의 용이성: 단독백신을 각각 접종한 것보다 DTaP, MMR과 같은 혼합 백신을 접종하면 훨씬 투여가 간편해 효율성이 크다.
    • 예방접종 효과 측정법
      • 효과: 질병에 걸릴 확률이 감소되며, 질병에 걸리더라고 질병의 중증도와 유병기간이 줄어들고,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는 정도(감염력)와 전파시킬 수 있는 감염기간이 줄어든다.
      • 1차 백신 실패: 예방접종을 실시하였으나 숙주의 면역체계에서 충분한 항체를 만들지 못한 경우
      • 2차 백신 실패: 예방접종 후 충분한 항체가 생성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항체 역가가 떨어져 방어하지 못하는 경우
      • 직접 효과: 예방접종이 시행되고 있는 집단에서 접종군과 비접종군의 질병 발생률 차이로 평가
      • 간접 효과: 예방접종이 시행되고 있는 집단의 비접종군과 예방접종이 시행되고 있지 않은 집단의 질병 발생률 차이로 평가

법정감염병과 감염병관리

그룹 분류기준
1급 감염병 (17종) 생물테러감염병 또는 치명률이 높은 감염병
집단 발생의 우려가 커 높은 수준의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
;에볼라 바이어스, 마버그열, 라싸열, 크리미안콩고출혈열, 남아메리카출혈열, 리프트밸리열, 두창, 페스트, 탄저, 보툴리눔독소증, 야토병, 신종감염병증후군, SARS, MERS, 동뭎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디프테리아 등
2급 감염병 (20종) 발생 또는 유행 시 24시간 이내에 신고
전파가능성이 우려되어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
; 결핵, 수두, 홍역,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감염, 백일해,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폴리오, 수막구균 감염증, B형 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폐렴구균 감염증, 한센병, 성홍열, 반코마이신내성황생포도알균(VRSA) 감염증,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등
3급 감염병 (26종) 계속 감시할 필요가 있는 감염병
; 파상풍, B형간염, 일본뇌염, C형간염, 말라리아, 레지오넬라증, 비브리오패혈증, 발진티푸스, 발진열,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브루셀라증, 공수병, 신증후군출혈열, 후천성면역결핍증, 크로이츠-야콥병(CJD), 황열, 뎅기열, 큐열, 웨스트나일열, 라임병, 진드기매개뇌염, 유비저, 치쿤구니아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지카바이러스감염증 등
4급 감염병 (22종) 1-3급 이외에 유행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표본감시활동이 필요한 감염병
; 인플루엔자, 매독, 유충증, 회충증, 편충증, 간흡충증, 폐흡충증, 장흡충증, 수족구병, 임질, 클라미디아감염증, 연성하감, 성기단순포진, 첨규콘딜롬,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VRE) 감염증,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MRSA) 감염증, 다제내성녹농균(MRPA)감염증, 장관감염증, 급성호흡기감염증, 해외유입기생충감염증, 엔테로바이러스감염증, 사람유두종바이러스감염증 등
  • 법정 감염병의 신고
    • 1급 감염병: 즉시 전화신고 후 24시간 이내 신고서 제출
    • 2급 감염병: 24시간 이내 신고
    • 3급 감염병: 24시간 이내 신고
    • 4급 감염병: 표본감시
  • 감염병 환자와 의사환자
    • 환자 confirmed case: 감염병의 병원체가 인체에 침입하여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으로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1조 제5항의 진단기준에 따른 의사 또는 한의사의 진단이나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기관의 실험실 검사를 통하여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suspected case: 감염병엽원체가 인체에 침입한 것으로 의심되나 감염병환자로 확인되기 전 단계에 있는 사람
    • 병원체 보유자: 임상적인 증상은 없으나 감염병병원체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
    • 임상에서 환자를 치료하는 기준으로 질병신고를 하기보다 실험실 검사에서 확인 전이라도 역학적 연관성에 의하여 감염이 의심되면 의사환자로 즉시 신고

국제적 감염병 관리 수준

  • 관리 control: 특정 감염병의 발생률, 유병률, 이환율, 사망률 등이 지역적으로 받아들일만한 수준까지 감소시키는 것
  • 퇴치 elimination: 미리 정해놓은 매우 낮은 목표수준으로 질병저파 수준을 낮추는 것 - WHO 결핵목표: 인구 백만 명 당 1명
  • 박멸 eradictation: 세계적으로 질병발생과 전파가 없어져서 더 이상 관리가 불필요한 상태

 

신종 및 재출현 감염병

신종 및 재출현 감염병의 대두

과거 없었거나 문제가 되지 않았던 감염병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유행하는 경우, 또는 한 떄 만연하던 감염병이 감소하거나 없어졌다가 다시 재출현한 감염병

신종 및 재출현 감염병의 종류

  • 기존의 병원체가 변화 혹은 진화하여 발생하는 새로운 감염병
  • 과거에 인지하지 못하였으나 생태학적인 변화로 새로 발견된 감염병
  •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재출현하는 기존의 감염병
  • 새로운 지역이나 새로운 인구집단으로 전파되어 발생하는 기존의 감염병

신종감염병의 출현에 기여하는 요인

신종감염병의 60-70%는 인수공통감염병; 신종감염병 예방과 관리에 인간-동물-환경을 아우르는 원헬스 전략이 중요

'CLASS > 예방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염질환의 역학  (0) 2020.12.12
한국인의 건강수준  (0) 2020.12.11
역학연구의 새로운 분야  (0) 2020.12.10
Survival Analysis  (0) 2020.12.09
회귀분석  (0) 2020.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