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여위험도 Attributable Risk
- '특정 위험요인 노출이 질병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가 얼마인가?'
- 기여위험도: 질병의 발생률(위험도) 중에서 관심있는 특정 원인(또는 위험요인)의 노출이 직접 기여한 정도 또는 분율
- 예) 흡연자의 폐암 위험도 중에서 흡연 때문에 증가한 부분이 어느 정도인가
기여위험도를 알면 특정 위험요인의 노출을 완전히 제거할 경우 질병 위험(발생률)을 얼마나 예방할 수 있는지 알수 있기 때문에 실제 임상진료나 공중보건 영역에서 기여위험도가 비교위험도 (노출과 질병의 인과관계를 밝히는데 중요) 보다 유용한 경우가 있음
노출군에서의 기여위험도
- 기저위험도 background risk: 비노출군의 위험도
- 특정 요인의 노출 여부와 무관하게 모든 사람들은 어느 정도의 기저 위험도를 가짐
- 노출군의 질병 위험도는 기저위험도와 추가 노출로 인해 생기는 위험도의 합
- 실제 위험요인 노출이 기여한 부분 = 노출군의 위험도 - 비노출군의 위험도
전체 인구에서의 기여위험도
- 전체 인구(노출군과 비노출군 모두 포함)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어느 정도가 특정 요인의 노출에 기인한 것인가?
- 예방 프로그램이 전체 인구에 미치는 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 노출군의 발생률 대신 전체 인구의 발생률 사용
- 전체인구의 발생률 = 노출군에서의 기여위험도 X 전체 인구에서 노출군의 분율
- 전체 인구에서의 기여위험도는 보건학적 측면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짐
노출군에서 | 전체 인구에서 | |
---|---|---|
기여위험도 | 노출군의 발생률 = 비노출군의 발생률 | 전체 인구의 발생률 = 비노출군의 발생률 |
기여위험분율 | $ \frac{\text{노출군의 발생률 - 비노출군의 발생률}}{ \text{노출군의 발생률}} $ | $ \frac{\text{전체 인구의 발생률 - 비노출군의 발생률}}{ \text{전체 인구의 발생률}} $ |
예시 (흡연자의 심장질환 발생)
- 흡연자에서의 발생률 = 28.0/1000
- 비흡연자에서의 발생률 = 17.4/1000
- 비노출군 발생률 = 10.6 /1000
- $\frac{28.0-17.4}{28.0} = \frac{10.6}{28.0} = 0.379 $
-> 흡연자 1000명단 28건의 심장질환 중 10.6건이 흡연 때문이고 10.6건은 예방할 수 있었음
-> 흡연자에서 발생한 심장질환 중 37.9%가 흡연 때문이고, 흡연하지 않았다면 예방할 수 있었음
- 전체 인구에서 흡연자가 44%(비흡연자 56%)임을 알고 있다면,
- 전체 인구에서의 발생률 = $ (\frac{28.0}{1000}) (0.44) + (\frac{17.4}{1000}) (0.56) = \frac{22.1}{1000}$
- 전체 인구의 발생률 - 비노출군의 발생률 = 4.7/1000
- $\frac{22.1-17.4}{22.1} = 0.213 $
-> 이 인구집단에서 발생한 심장질환의 21.3%가 흡연 때문에 발생한 것이었으며, 만약 확실한 예방 프로그램으로 흡연이 전혀 없었다면 전체 심장질환 발생의 21.3%를 예방할 수 있었음을 의미
비교위험도와 기여위험도의 비교
- 비교위험도와 오즈비는 인과관계를 추론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연관성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 - 역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
- 기여위험도는 특정 요인의 노출에 기인한 질병 위험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지표, 즉 특정요인의 노출을 제거하여 얼마나 많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을 주는 방법 - 공중 보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개념
'EPIDEMIOLIGY > Leon Gord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15. 바이어스, 교란, 상호작용 (0) | 2020.07.21 |
---|---|
Chap14. 연관성에서부터 인과성까지: 역학적 연구로부터의 추론 유도 (0) | 2020.07.18 |
Chap11. 위험도 추정: 노출과 질병의 연관성 (0) | 2020.07.14 |
Chap10. 환자-대조군 연구와 단면연구 (1) | 2020.07.12 |
Chap09. 코호트 연구 (0) | 2020.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