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신종 및 재출현 감염병
5.1 신종 및 재출현 감염병의 대두
emerging and reemerging infectious diseases: 과거 없었거나 문제 되지 않았던 감염병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유행하는 겨우, 또는 한 때 만연하던 감염병이 감소하거나 없어졌다가 다시 재출현한 감염병
5.2 신종 및 재출현 감염병의 종류
- 기존의 배여원체가 변화 혹은 진화하여 발생하는 새로운 감염병
- 과거에 인지하지 못했으나 생태학적 변화로 새로 발견된 감염병
- 여러 요인으로 인해 재출현하는 기존의 감염병
- 새로운 지역이나 새로운 인구집단으로 전파되어 발생하는 기존의 감염병
5.3 신종감염병의 출현에 기여하는 요인
- 사회적 상황: 경제적 빈곤, 전쟁/분쟁, 인구증가와 이주, 도시 슬럼화
- 보건의료 기술: 새로운 의료장비, 조직/장기이식, 면역억제약물, 항생제 사용
- 식품 생산: 식품공급의 전세계화, 식품가공과 포장의 변화
- 인간 생활습관: 성행태, 약물남용, 여행, 식이 습관, 여가활동, 보육시설
- 환경 변화: 삼림벌채/재조림, 수자원 생태계 변화, 홍수/가뭄, 기근, 지구 온난화
- 공중보건 체계: 예방사업의 축소, 부적절한 감염병 감시체계, 전문요원의 부족
- 미생물의 적응과 변화 : 미생물의 독성 변화, 약제 내성 출현, 만성질환 공동인자로 미생물 출현
5.4 세계의 신종감염병 발생 현황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니파 바이러스, SARS, 돼지 인플루엔자, 중동호흡기증후군, 에볼라바이러스병, 지카바이러스감염증 등
5.5 신종감염병 발생과 유행 이해를 위한 새로운 모형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 21세기 공식적으로 기롣괸 첫 신종 감염병
- 2003년 2월 세계보건기구에 첫 보고된 이후 30여 개 국가로 확산
(1) 병원체 및 임상적 특성
- 원인 바이러스: 사스 코로나바이러스(SARS-Corona Virus, SARS-CoV), 사람에게서 분리된 적이 없는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 주 증상: 급작 고열과 호흡기질환 소견,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
- 평균 잠복기 3~7일, 최대잠복기 10일
- 2차 발병률 접촉자의 29%(가족 45%)
- 기초감염재생산수 2.7
(2) 역학적 특성
- 아시아, 20~30대, 고연령층, 병원 종사 인력 집중 발생
- 연령, 기저질환에 따라 치명률의 큰 차이
(3) 예방과 관리
- 환자관리
- 입원격리, 보건소 신고
- 진료시 마스크, 고글 등 개인보호구 착용
- 치료: 대증요법, 항바이러스제, 스테로이드 사용
- 유행 시 조치
- 환자의 격리, 검역
- 지역사회 감시강화, 관련 인력 교육, 국민 홍보
- 예방: 예방접종 없음. 유행 지역 여행 제한, 국가간 검역 철저
5.6 우리나라의 신종감염병과 재출현 감염병
1) 새로 발견된 감염병
- 1976년 한탄바이러스 (신증후군출혈열) 분리
- 1894년 렙토스피라증
- 1986년 쯔쯔가무시증
- 1984년 레지오넬라증
- 1980년대 비브리오패혈증, 로타바이러스감염증, 애토병
- 2000년대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 식품매개감염병
- 최근 부르셀라증, 큐열 - 인수공통감염병
2) 재출현 감염병
- 식수 및 식품매개감염병 : 세균성이질, 식중독, A형간염, 광범위항생제내성이질균(ESBL-producing shigella)
- 예방접종대상감염병 : 두창(박멸), 폴리오, 홍역, 볼거리
- 절지동물매개감염병 : 삼일열 말라리아
3) 외국에서 유입되어 발생하는 감염병 : HIV/AIDS, 콜레라, 열대열 말라리아, 뎅기열
5.7 전망과 대책
- 감염병 조기 발견을 위한 감시, 예방과 관리를 위한 대비, 대응 체계 강화를 위한 감염병 관리체계 개선 등 시행
- 교육과 훈련 프로그햄 시행하여 현장 대응 인력 수준 고도화
- 감염병 관련 연구 사업 개발
- 국내 및 국제적 감염병 관련 네트워크 구축 사업 추진
6.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 분변-구강 경로(fecal-oral route)를 통해 접촉이나 식수 또는 식품을 매개로 전파되는 감염병
- 상수도 보급과 환경위생 개선으로 과거에 비해 급격히 감소했으니 집단급식 홛개와 외식산업의 발달로 세균성이질 대규모 발생
감염병 |
병원체 및 특징 |
임상증상 |
역학적 특성 |
예방 및 관리 |
콜레라 |
Vibrio colera |
급성 수양성 설사와 구토 |
식수의 심각한 오염 또는 음식물 내 증식에 한하여 유행 |
제1군감염병 및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감염병 기준 |
장티푸스 |
Salmonella Typhi |
지속적 고열, 구통, 쇠약감, 상대적 서맥, 장미진, 비장종대, 변비 |
식수의 심각한 오염 또는 음식물 내 증식 유행 |
입원/격리, 수액치료, 항생제 치료 |
세균성이질 |
Shigella dysenteriae(A군) |
발열, 복통, 구토, 뒤무직(tenesmus) 동반 설사 |
10~100마이의 적은 수로도 감염 가능 |
입원/격리 |
장출혈성 대장균감염증 |
E.coli O157:H7 |
용혈요독증후군, 혈전혈소판감소 자색반병 |
장출혈성 대장균 오염 소고기, 소독 부족 우유, 소 분변 접촉시 발생 |
수액 보충 및 전해질 균형 유지 |
A형간염 |
Picornaviridae에 속하는 껍질 없는 RNA 바이러스Ⅰ,Ⅱ,Ⅲ,Ⅶ |
6세미만: 70% 무증상 |
분변-구강경로 사람 직접 전파, 분변 오염물 간접 전파 |
수액, 영양공급, 항구토제 등 보존적 치료 |
7. 예방접종대상감염병
- 1798년 우두 접종 이래 감염병 예방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
- 1980년 예방접종으로 두창 박멸 선포
- 발생 상황, 경제적 여건, 보건의료 기반에 따라 국가별 예방접종대상감염병 범위 상이
감염병 |
병원체 및 특징 |
임상증상 |
역학적 특성 |
예방 및 관리 |
홍역(measles, rubeola) |
홍역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력이 매우 강한 발진성 호흡기 질환 |
전구기: 발열, 식욕부진, 결막염, 기침, 콧물 |
비말로 사람 간 전파 |
항바이러스 치료제 없음 |
볼거리(유행성이하선염, 유행귀밑샘염, mumps) |
소아 및 청소년기 바이러스성 감염질환 |
전구기: 근육통, 식욕감퇴, 미열 |
비말과 침에 의한 공기매개 전파 |
홍역, 볼거리, 풍진 혼합백신 |
수두(varicella) |
VZV(Varicella zoster virus) |
전구기: 발열, 권채감, 식욕부진, 두통, 복통 |
타액, 비말 감염, 직접 접촉 |
딱지 질 때까지 환자 격리 |
파상풍(tetanus) |
Clostridium tetani |
근육수축(trismus), 전신 과반사(hyperreflexia), 활모양 강직(opisthotonus) |
피부나 점막 상처 파상풍 균, 동물 물려서 감염 |
회복 후 파상풍 백신 접종 |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
Bordetella pertussis |
기침발작 |
호흡기 분비물이나 비말핵 간접전파, 비말 직접 접촉 발생 |
환자 격리 |
일본뇌염(Japanese encrphalitis) |
Flavivirus에 속하는 단일사슬 RNA 바이러스 |
대부분 불현성 |
모기에 의한 대표적 절지동물매개감염병, 인수공통감염병 |
모기 박멸 |
8. 사람간 접촉에 의한 감염병
- 항원의 대변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서 유전자재배열이나 직접전달방법으로 새로운 H항원이나 N항원을 가진 새로운 아형을 만드는 것
- 유행봉쇄(containment): 유행초기에 지역사회 유행도입과 유행시기를 늦추는 것을 목적으로 검역, 격리, 접촉자 추적 및 조치 등 수행
- 질병부담완화(mitigation): 이미 지역사회유생단계에서 감염자와 환자 수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공중보건방법
감염병 |
병원체 및 특징 |
임상증상 |
역학적 특성 |
예방 및 관리 |
인플루엔자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
급성 고열, 오한, 인후통, 기침, 근육통 |
비말 직접전파 |
계절인플루엔자 제3군법정감염병 |
신종인플루엔자 A(H1N1) |
다양한 바이러스에서 기원한 RNA들로 재조합된 바이러스 |
고열, 기침 등 기존 인플루엔자와 유사 |
세계적으로 빠르게 대유행 |
국가재난차원 관리 |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MERS-coV) |
발열, 기침, 숨참, 각혈, 설사, 복통, 구역, 구토, 근육통, 관절통, 두통 |
사우디아라비아내 병원내 감염 접촉 다수 |
특이적 항바이러스제 없음 |
에볼라바이러스병 |
ebola virus - Zaire, Sudan, Bundidugyo |
급성 발열, 심한 피곤함, 인후통, 설사, 구토, 피부발진, 간부전, 신부전, 위장관출혈 |
스필오버 현상(야생의 병원소에서 사람으로 전파) |
지역사회 협조 절대적 필요 |
9. 성접촉매개감염병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STI :성기 자체의 병변 유무를 떠나 성접촉이 주된 전파경로로 작용하는 질환들을 총칭하며 무증상자도 포함
감염병 |
병원체 및 특징 |
잠복기 |
임상증상 |
신고제도 |
매독(syphilis) |
Treponema pallidium |
3주 |
궤양, 무통성 하감(chancre), 피부발진, 편평 콘딜로마; 뼈, 심혈관계 및 신경계 |
제3군감염병 |
임질(gonorrhoea) |
Neisseria gonorrheae |
2~7일 |
직장염, 인두염, 파종성 인균감염 |
표본감시 - (의사)환자 |
연성하감(chancroid) |
Haemophilus ducrei |
4~10일 |
성귀궤양, 가래톳(bubo) |
|
클라미디아감염증(chlamydial infection) |
Chlamydia trachomatis |
1~3주 |
직장염, 인두염, 라이터 증후군, 클라미디아 림프육아종 |
|
성기단순포진(genital herpes) |
Herpes sumplx virus |
2~14일 |
성기부위 수포성 피부질환, 궤양성 병변 |
|
뾰족콘딜로마(genital warts) |
Human papillomavirus |
2~3개월 |
성기부위 사마귀, 상피세포암 |
10. 절지동물매개감염병
이, 쥐벼룩, 모기, 파리, 진드기, 좀진드기 등의 절지동물에 의해 매개되는 감염병
감염병 |
병원체 및 특징 |
임상증상 |
주 발생지역 |
예방 및 관리 |
말라리아(malaria) |
Plasmodium - vivax, falciparum, ovale, malariae, knowlesi |
비특이적 증상 후 주기적 열발작 |
모기 흡혈로 전파 |
제3군 법정감염병 |
쯔쯔가무시증(tsutsugamushi disease) |
Orientia tsutsugamushi |
급성 발열, 오한, 두통, 피부 발진, 림프절 종대 |
동남아시아 동부, 중부 토착화 |
제3군 법정감염병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
SFTS virus |
고열, 소화기증상, 혈소판/백혈구 감소, 다발성 장기부전 |
중국 중부 , 동북부 |
제4군 법정감염병 |
뎅기열(dengue fever) |
dengue virus |
발진, 피부점상출혈, 전신 반구진 발진 |
열대, 아열대지역 모기에 의한 급성열성질환 |
접촉자 관리나 소독 없음 |
지카바이러스감염증 |
Flavivirus 계열 |
80% 불현성감염 |
국외유입감염병 - 태국, 몰디브, 베트남, 필리핀 등 |
제4군 법정감염병 |
11. 인수공통감염병
xzoonosis: 사람과 척추동물 간에 발생하는 공통질환으로 사람과 척추동물 모두 증상을 일으키지만 중증도는 다름
감염병 |
병원체 및 특징 |
임상증상 |
역학적 특성 |
예방 및 관리 |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 |
Leptospira species - interrogans, biflexa |
발열, 오한, 근육통 및 두통, 흉통, 기침, 호흡곤란 |
일종의 직업성 질환 |
제3군감염병 |
신증후군출혈열(HFRS) |
한탄 바이러스, 서울 바이러스 |
발열기/저혈압기/핍뇨기/이뇨기/회복기 |
세계적 분포 추정 |
제3군감염병 |
브루셀라증(brucellosis) |
Brucella - melitensis, abortus, suis, canis |
열, 오한, 발한, 두통, 근육통, 관절통, 골관절계 합병증 |
지중해 연안, 아프리카 북동쪽, 아시아 중동과 중앙 등에서 유행 |
가축 브루셀라 박멸 |
탄저(anthrax) |
Bacillus anthracis |
복통, 토혈, 혈변 |
초식동물 질환, 육식동물과 사람은 우연히 감염되는 숙주 |
위험지역 동물 예방접종 |
큐열(Q fever) |
Coxiella brunetii |
불현성 감염 |
감염된 가축의 대소변이나 양수 및 태반을 통해 오염된 공기 흡입 감염 |
제4군감염병 |
12. 만성감염질환
감염병 |
병원체 및 특징 |
임상증상 |
역학적 특성 |
예방 및 관리 |
결핵 |
결핵균(M. tuberculosis)을 포함한 결핵균복합체 |
감염시 10% 발병, 90% 잠재감염 |
2012년 이후 최근 감소 경향 |
집단생활 시설 결핵환자 집락 |
B형간염 |
HBV |
피로감, 식욕부진, 황달 |
아프리카, 아시아 감염 높음 |
백신 예방접종 |
C형간염 |
HCV |
무증상, 간경화, 간암 |
혈행성 오염 혈액 노출, 비위생적 침술 |
리바비린, 인터페론 |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
HIV |
무증상~신경계통 합병증 |
성접촉 |
훛펀성면역결핍증예방법 제정 |
- 프리온 질환: 신경세포막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프리온의 3차원 구조의 병적 변환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의 통칭
- 유전물질 없이 전파 가능
- 소독으로 대표되는 의료행위의 생물학적 안전성에 대한 개념의 근본적인 수정 불가피
- 전파에서 질병발생까지의 기간이 매우 길어 원인요인 노풀시기와 질병발생간의 관계를 밝히기 힘든 경우 많음
- 단백질 자체의 구성은 다르지 않으므로 면역형성이 매우 약하거나 없고 항체검사 증 간단한 방법으로 질병 선별 어려움
- 치명률 100%로 질병의 희소성에 비해 대중의 공포감과 관심 매우 높음
13. 의료관련감염병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nosocomial or hospital-acquired infections: 입원 당시 감염이 없었음은 물론 잠복 상태도 아니었던 감염이 입원기간 중에 발생한 경우로, 통상 입원 후 48시간 이후 발생한 감염
- 우리나라 2010년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의료관련감염병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
-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군,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 메치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다제내성녹농균,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증
감염부위 | 내인성 위험요인 |
---|---|
1차성 혈류감염 | 연령(1세 이하 또는 60세 이상), 면역억제 화학요법, 피부손상(ex.화상, 건선), 기저질환의 중증도 |
폐렴 | 수술(ex.상복부, 흉부), 만성 폐질환, 노인, 면억억제 화학요법 |
요로감염 | 기저질환의 중증도(ex.당뇨병), 여성, 노인 |
수술부위감염 | 기저질환의 중증도(ex.높은 ASA score, 당뇨병), 비만, 노인 영양결핍, 외상, 피부손상(ex.건선), 원위부 감염의 존재 |
화상창상감염 | 피부화상의 백분율, 노인, 영양결핍 |
14. 해외여행 감염증
여행의학(travel medicine) : 해외여행 중에 생길 수 있는 여러 가지 건강상의 문제를 연구하고 이에 대한 예방법 및 대응책을 준비하는 새로운 학문분야
-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travelinfo.cdc.go.kr) 개설
- 세계보건기구 특정 지역 방문시 예방접종 규정: 황열 백신, 수막알균 백신
'EPIDEMIOLIGY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계축문화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11장. 만성질환의 역학 (1) | 2020.02.13 |
---|---|
제 10장 (1). 감염질환의 역학 (0) | 2020.02.11 |
제 9장. 한국인의 건강수준 (0) | 2020.02.07 |
제 8장. 근거중심의료와 임상적 의사결정 (0) | 2020.02.06 |
제 7장. 의학연구에서의 통계의 활용 (0) | 2020.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