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PIDEMIOLIGY/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계축문화사)

제 11장. 만성질환의 역학

1. 만성질환

1.1 만성질환의 정의

chronic disease : 이환기간이 길고 일반적으로 서서히 진행하는 질환으로 (WHO 2016) 퇴행성질환 $\neq$ 만성질환

1.2 만성질환의 역학적 특성

  • 다인자 원인론 : 여러 위험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질병을 일으킨다는 이론으로 만성질환 발생에 적용
  • 자연사의 질병 발생시점 정확히 알기 어렵고, 위험요인 노출시점으로부터 발병까지의 유도기간이 김
  • 발병 이후 완치되기 어려운 상태를 유지하며, 진행 경과가 오래 걸리면서 단계적 기능의 저하나 장애 심화
  • 대부분 비감염성 또는 비전염성질환이나 일부 만성질환은 감염에 의해 발생

1.3 만성질환에 관련된 위험요인의 특성과 관리대책

사회경제, 문화, 정치, 환경적 결정요인 : 세계화, 도시화, 인구고령화

$\downarrow$

교정가능 위험요인 : 불건강한 식이, 신체활동 부족, 흡연
교정불가능 위험요인 : 나이, 유전

$\downarrow$

중간단계 위험요인 : 고혈압, 고혈당, 혈중지질이상, 과체중/비만

$\downarrow$

주요 만성질환 : 심장병, 뇌졸중, 암, 만성호흡기질환, 당뇨

1.4 만성질환의 자연사에 따른 일차, 이차, 삼차 예방

  • 만성질환의 특성에 의해 질병 발생의 모든 단계에 걸치는 포괄적 예방전략이 중요
  •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각 요인들에 대한 노출 감소시키는 일차 예방 역할이 가장 근본적
  • 증상발현 시작 후엔 적절한 치료를 통한 삼차 예방으로 후유증과 장애, 조기사망을 예방
  • 완치가 가능하지 않은 대부분의 만성질환에서 삼차 예방은 사망률을 낮추고 유병률은 증가시키는 효과 있음

1.5 만성질환 감시의 원칙과 방법

  • 만성질환 발생과 관련한 위험요인 노출에 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해석하여 정책결정자나 그 밖의 수요자에게 적시에 제공하는 활동
  • 공중보건의 근본적 기능 중 하나로 추세 변화를 파악하고 미래의 질병부담을 예측하여 중재방안 찾아내는 근거 제공
  • 위험요인의 감시가 반드시 포함
  • 예방의 효과는 발생률과 유병률의 변화로 나타나야 함

WHO STEPS 위험요인 감시체계

  • 네 가지주요 만성질환(심혈관질환, 암, 만성폐질환, 당뇨)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에 대한 조사
    • 생활습관 관련 요인 4가지 : 흡연, 음주, 나쁜 식이습관, 신체활동 부족
    • 생체요인 4가지 : 비만과 과체중, 혈압상승, 혈당상승, 지질이상
  • 저소득 국가들의 만성질환 감시 체계 수립에 도움
  • 적은 양이어도 표준화된 양질의 데이터 수집
  • 각 나라의 다양한 상황에 적용 가능한 정보 제공에 중점
  • 전체 집단 대표 가능 표본 선정

한국의 주요 만성질환 감시체계

이름 담당기관 시작연도 목표인구 자료수집방법 주요대상지표
국민건강영양조사 질병관리본부 1998 전국 표본조사 만성질환 및 위험요인 유병률
지역사회건강조사 질병관리본부 2008 전국(시군구) 표본조사 만성질환 및 위험요인 유병률
손상감시사업$^{1)}$ 질병관리본부 2005 전국 병원기반 심뇌혈관질환 및 손상발생률
암등록사업$^{2)}$ 중앙암등록본부
(국립암센터)
1980 전국 인구기반 발생률, 생존율, 사망률

$^{1)}$ 손상은 일반적으로 만정질환에 포함되지 않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질병관리본부 만성병조사과 감시체계에 통합되어 운영
$^{2)}$ 우리나라 암등록사업은 2005년부터 지역암등록사업과 중앙암등록사업 데이터베이스 통합

1.6 만성질환 취약집단

1) 정의와 특성

vulnerable population : 다른 집단에 비해 만성질환의 위험도가 높은 집단으로 대표적으로 노인 인구

  • 취약집단의 문제는 위험요인보다 집단의 특성에 대한 문제
  • 숙주 특성에 속하는 위험요인
  • 취약집단에서 만성질환 위험도 증가 기전
    • 특정 집단에 속하는 것 자체가 일정하게 위험도 증가
    • 특정 집단에서 여러가지 위험요인들에 대한 노출 집중
    • 다른 집단에 비해 특정 집단의 일부 위험요인의 효과 커짐 (효과수정, 상호작용)

2) 취약집단으로서 노인 인구의 만성질환 특성과 관리방안

  • 노인 만성질환 취약성 특징
    • 노인들은 여러가지 만성질환에 동시에 이환되는 경우 흔함 - 동반 질환 있는 경우 악화과 쉽고 치료가 더 어려움
    • 노인들은 여러 이유로 조기발견 더 어려움
    • 노화로 인해 생리적 기능의 예비능력(reserve capacity)이 줄어 새로운 질병이나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적응력 떨어짐 - 합병증 발생위험 증가
  • 노령은 그 자체로 생물학적 기전에 의한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작용
    • 발암원(carcinogen)에 대한 지속적 노출기간이 노인에서 길기 때문에 암 발생 증가
    • 생물학적 노화는 발암억제능력의 상실 초래
    • 산화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의한 동맥내벽의 염증성 변화

 

2. 암

2.1 정의

세포들이 정상적인 조절기능의 통제를 벗어나서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면서 다른 조직으로 침범하는 질환

  • 암 분류체계 : 세계보건기구 발간 종양학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for Oncology, ICD-O) 기준, 현재 2000년 개정 제3판사용(ICD-O-3)
  • 국제 비교를 위한 암 통계 : 세계보건기구 발간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ICD-10)

2.2 기술역학적 특성

  • 암등록통계 관련 자료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국가암정보센터(http://cancer.go.kr)
  • 세계적으로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대장암이 가장 흔한 암종
  • 전체 사망자의 27.9%가 암으로 사망 (2015,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연보)
  • 남자 5대 암종 :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항문암), 췌장암
  • 여자 5대 암종 : 폐암, 대장암, 위암, 간암, 췌장암
  • 모든 암종에 대한 연령표준화 암사망률 감소 추세(대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예외)

2.3 위험요인

  • 암은 지리적, 시간적으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생황습관과 환경영향의 결과로 생기는 질병으로 암의 발생 증가
  • 주요 원인 : 흡연, 음주, 발암물질에 대한 직업적 노출, 환경오염, 약물, 바이러스, 박테리아, 식이 및 영양상태
  • 세계적으로 암 발생과 사망은 암종별로 지역간 차이가 많음
    • 선진국: 주로 흡연과 서양식 생활양상에 기인한 암 발생 많음
    • 개발도상국: B형 간염, 인유두종바이러스, 헬리코박터 하이로이 등의 만성 감염 관련성 높음
  • 국제암연구소 (http://monographs.iarc.fr) 참조

2.4 예방과 관리

우리나라 암 예방을 위한 국민 암예방 수칙

  1. 담배를 피우지 말고, 남이 피우는 담배 연기도 피하기
  2. 채소와 과일을 충분하게 먹고, 다채로운 식단으로 균형 잡힌 식사하기
  3. 음식을 짜지 않게 먹고, 탄 음식을 먹지 않기
  4. 암 예방을 위하여 하루 한 두잔의 소량 음주도 피하기
  5. 주 5회 이상, 하루 30분 이상, 땀이 날 정도로 걷거나 운동하기
  6. 자신의 체격에 맞는 건강 체중 유지하기
  7. 예방접종 지침에 따라 B형 간염과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받기
  8. 성 매개 감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안전한 성생활 하기
  9. 발암성 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작업장에서 안전 보건 수칙 지키기
  10. 암 조기 검진 지침에 따라 검진을 빠짐없이 받기

 

우리나라 7대암 검진 권고안

 

2.5 우리나라 암관리사업

제3차 암관리 종합계획

  • 비전 : 전 국민을 암으로부터 보호하고 암 전주기에 걸친 환자와 가족이 삶의 질 향상
  • 목표
    • 암발생률을 OECD 평균 수준으로 감소
    • 암 조기발견 및 생존율 증가
    • 암생존자 및 말기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
    • 맞춤형 정밀의료 기반 구축

 

3. 심혈관질환

3.1 정의

  • 심혈관질환(cardiovascular diseases) : 관상동맥질환, 고혈압성 심장질환, 부정맥, 판막질환, 선천성심장질환, 심근증, 심낭질환심부전 등 심장질환과 뇌졸중, 말초혈관질환, 동맥류 등의 혈관질환을 포함하는 질병군
  • 허혈성심질환(ischemic heart disease) :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심근경색증이나 협심증이 이에 해당하며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으로 명명하기도 함
  • 뇌혈관질환 :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짐으로써 그 부분의 뇌가 국소적으로 기능을 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다양한 신경학적 이상이 수반되는 질환으로 뇌출혈(cerebral hemorrhage)과 뇌경색(cerebral infraction)으로 구분하고 뇌졸중(cerebrovascular accident, stoke)이라고도 함

3.2 기술역학적 특성

  • 심혈관질환은 세계적으로 발생 규모와 질병 부담이 매우 큰 질환
  • 2013년 기준 우리나라 허혈성심질환 사망률 가장 낮은 국가에 속하나, 뇌졸중 사망률은 OECD 전체 평균보다 높음
  • 2015넌 사망원인통계 우리나라 전체 사망원인 10.3% 심장질환, 8.9% 뇌혈관질환

3.3 위험요인

  • 고혈압
  • 흡연
  • 고콜레스테롤혈증과 지방섭취

3.4 예방과 관리

  • 우리나라는 심혈관질환의 막대한 규모에 비해 국가적 관리체계 노력 부족
  • 체계적 역학연구를 통해 위험요인을 밝히고 국가적 예방과 관리사업 시행 중요
  • 2016년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

 

4. 고혈압

4.1 정의

성인의 혈압 분류(JNC-7 보고서)

혈압 분류 수축기혈압   이완기 혈압
정상(normal) < 120 이고 < 80
고혈압전단계(prehtpertension) 120~139 또는 80~89
제1기 고혈압(stage 1 prehtpertension) 140~159 또는 90~99
제2기 고혈압(stage 2 prehtpertension) $\geq$ 160 또는 $\geq$ 100

4.2 기술역학적 특성

  • 30~50대 남자 유병률 높고 60대 이후 여자 유병률 높음
  • 고혈압 관리 수준 세계적으로 빠르게 향상
  • 고혈압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 모두 향상
    • 고혈압 인지율 : 고혈압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고혈압 진단을 받은 분율
    • 고혈압 치료율 : 고혈압 유병자 중 현재 혈압 강하제를 한 달에 20일 이상 복용한 분율
    • 고혈압 조절률 : 고혈압 유병자 중 수축기혈압이 140mmHg 미만이고 이완기혈압이 90mmHg 미만인 분율

4.3 위험요인

  • 교정할 수 없는 위험요인(non-modifiable risk factors) : 연령, 성, 유전적 감수성
  • 교정 가능 위험요인(modifiable risk factors) : 나트륨 및 칼륨 섭취, 음주, 신체활동 부족, 비만
  • 잠재적 위험요인(potential risk factors) : 출생시 저체중, 사회 경제적 상태, 인슐린저항성, 영양소 섭취 과부족, 경도 만성 염증, 스트레스

4.4 예방과 관리

생활습관 개선 권고사항 수축기혈압 감소
체중감소 정상체중 유지 5~20mmHg
DASH* 식습관 실천 과일, 채소가 풍부하고 포화지방 및 총지방이 적은 식이 8~14mmHg
소금섭취량 감소 하루 100mmol 이하의 소급 섭취 (2.4g sodium 또는 6g as NaCl) 2~8mmHg
운동 정기적 유산소 운동 하루 30분 이상 4~9mmHg
절주 남자 : 하루 2잔 이하 알코올 섭취
여자, 마른 사람 : 하루 1잔 이하 알코올 섭취
2~4mmHg

 

5. 당뇨병

5.1 정의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부족이나 세포에서의 인슐린 저항으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만성적이고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질병

  • 대표적 증상 : 다뇨(polyurea), 다음(polydypsia), 다식(polyphagia)
  • 제1형 당뇨병 : 인슐린 의존형. 췌장 베타세포의 파괴로 인한 인슐린 결핍이 특징, 만 14세 이전 발병
  • 제2형 당뇨병: 인슐린 저항성과 상대적 인슐린 부족, 40세 이후 성인 발병

당뇨병 진단기준

  1. 달화혈색소 $\geq$ 6.5% 또는
  2. 8시간 이상 공복혈장혈당 $\geq$ 126mg/dL 또는
  3. 75g 경구포도당부하검사 후 2시간 혈장혈당 $\geq$ 200mg/dL 또는
  4. 당뇨병의 전형적 증상과 임의 혈장혈당 $\geq$ 200mg/dL

당뇨 전 단계(prediabetes) 기준

  1. 75g 경구포도당부하검사 후 2시간 혈장혈당 140mg/dL 이상 199mg/dL 이하(내당능장애)
  2. 8시간 이상 공복혈장혈당 100mg/dL 이상 125mg/dL 이하(공복혈당장애)
  3. 당화혈색소 5.7% 이상 6.4% 이하

5.2 기술역학적 특성

  •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 증가 (특히 제2형)
  • 사망 원인으로 집계되지 않고 간과되는 경향
  • 사회경제적 수준과 연관성 : 소득이 낮은 집단 유병률이 높음

5.3 위험요인

  • 제1형 당뇨병 : 췌장 소도세포 항체 유무, 소도세포 항체양, HLA 지표, GAD 항체, 인슐린 자가항체, 콕사키(Coxsackie) 바이러스 감염
  • 제2형 당뇨병: 나이, 비만, 가족력, 출생 시 체중, 인종, 운동량, 영양상태, 생활습관, 환경 변화

5.4 예방과 관리

  • 일차예방 : 전체 인구집단 대상으로 과체중, 운동부족, 식습관 등 체계적 관리
  • 이차예방 : 조기발견으로 합병증 최소화
  • 삼차예방 : 혈당의 엄격한 조절 및 모니터링 - 자가혈당측정, 당화혈색소

 

6. 대사증후군

6.1 정의와 진단기준

개념적으로 당뇨병이나 심뇌혈관질환과 함계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대사 이상 징후들의 유병상태

진단 항목 진단 수치
허리둘레 남자 $\geq$ 90cm, 여자 $\geq$ 85cm
중성지방 $\geq$ 150mg/dL 또는 약물치료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남자 < 40mg/dL, 여자 < 50mg/dL 또는 약물치료
고혈압 수축기/이완기 $\geq$ 130/85mmHg 또는 약물치료
고혈당 공복혈당 $\geq$ 100mg/dL 또는 약물치료

6.2 기술역학적 특성

  • 요인별 유병률 고혈압 유병률 가장 높음
  • 70세 이상 인구의 70%, 650대 인구의 60% 가량 대사증후군 관련 진료인원

6.3 위험요인

  • 비만, 폐경상태, 흡연, 낮은 가구소득, 고탄수화물 식이, 신체활동량 부족, 청량/과당음료 섭취

6.4 예방과 관리

  • 일반적인 건강증진 관리방법으로 수축기 혈압과 복부비만 감소

 

7. 만성폐쇄성폐질환

7.1 정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 만성적으로 기도 폐쇄를 통해 내쉬는 숨의 제한을 가져오게 되는 질환으로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 등이 있음

  • 기관지확장증, 폐쇄성세기관지염, 낭포성섬유증, 폐결핵 후유증, 천식 등에 의한 기도 폐쇄 제외
  • 최근 전신 질환으로 보는 견해 대두

7.2 기술역학적 특성

  • 흡연 태도, 담배 종류, 기후와 대기오염 정도, 유전적 차이 등으로 COPD 환자 사망률은 세계적으로 차이가 많음
  • 흡연자의 15% 정도 COPD 발병 추정

7.3 위험요인

확정 정도

환경적 인자

숙주 인자

확정적

흡연

일부 직업성 노출

알파-1-항 트립신 결집증

상당한 증거

직업성 노출

대기오염(아황산가스, 미립자물)

빈곤, 낮은 사회경제 수준

음주

소아기 간접흡연

기도 과민반응

아토피(면역글로불린 E 상승)

출생시 저체중

소아기 호흡기 감염

가족력

잠정적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비타민C 식이 부족

유전적 소인

혈액형A

면역글로불린 A 비분비자

 

7.4 예방과 관리

  • 금연이 가장 중요
  • 인플루엔자와 폐렴 구균에 대한 예방접종
  • 기관지확장제를 이용한 약물 치료, 호흡 재활 치료(교육, 운동치료, 행동변화, 효과판정 등)

 

8. 신장질환

  • 만성신질환 : 3개월 이상 단백뇨, 혈뇨 혹은 방사선적, 병리학적 검사 증에서 신장 손상의 증거가 있거나 혈청 크레아티닌을 이용하여 계산한 사구체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이 60ml/min/1.73m$^2$ 미만인 경우
  • 만성신질환 분류 5단계
단계 신장 기능 GFR (ml/min/1.73m$^2$) 신장 손상의 증거
1단계 정상 $\geq$ 60
2단계 경미하게 감소 60~89
3단계 중증도로 감소 30~59  
4단계 심하게 감소 15~29  
5단계 투석 < 15 신부전
  • 세계적으로 만성신질환 유병률 증가 ( $\because$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증가)
  • 과거- 만성사구체신염, 최근- 고혈압, 당뇨병이 주요 위험요인
  • 인종간 위험요인 분포와 보건의료서비스 접근 차이로 사회경제 상태가 낮은 계층에서 높은 유병률
  • 만성신질환은 심혈관질환의 중요한 위혐요인
  •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므로 고위험 집단에 대한 선별검사와 감시체계 필요

 

9. 소화기질환

9.1 소화성궤양(peptic ucler disease)

  • 헬리코박터 감염이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
  • 인구 고령화로 환자 분율 증가

9.2 간경변, 만성간질환, 알코올성 간질환

  • 간질환 사망률 꾸준히 감소
  • 만성간질환은 간경변증으로 진행
  • 간경변 감소, 알코올성 간경변, 간경변증 유병률 증가

9.3 염증성 장질환

  • 장에 발생하는 원인불명의 만성적인 염증으로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 지칭
  • 우리나라 염증성 장질환 환자 빠르게 증가
  • 궤양성 대장염은 1년 내 30%, 10년 안에 88% 환자 재발

9.4 기능성 소화기질환(기능성 위장장애, 과민성대장증후군 등)

  • 다른 기질적 질환 없이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복통, 복부팽배감, 배변습관의 변화 등 위장관증상을 동반하는 증후군
  • 젊은 연령, 여성, 우울증, 심리적 스트레스 등이 주요 위험요인
  • 만성질환으로 의사와 환자간의 좋은 관계 형성이 치료의 성패에 중요

 

10. 신경질환

10.1 신경질환의 특성

  • 신경퇴행성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 중추 및 말초 신경계의 신경 세포에 퇴행성 변화로 여러가지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
  • 인구 노령화와 더불어 유병률 급격히 증가

10.2 치매

dementia : 후천적 뇌질환으로 기억장애를 포함한 다영역에 걸친 인지기능장애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장애를 겪는 상태

  • ICD-10, DSM-IV, NOINCDS-ADRDA 등의 진단 기준 적용
  • 알츠하이머병이 전체 원인의 60~70%, 혈관성 치매 30%
  • 신경퇴행성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미주 및 유럽지역이 아시아지역에 비해 높음
  • 국내는 알츠하이머병 분율 높고 여성 유병률 높음
  •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 정상에서 치매로 이행되는 중간단계로 인지기능장애는 있으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장애는 없는 상태, 연간 10~15%가 치매로 이행
  • 생애초기부터 전생애에 걸쳐 진행되므로 조기예방 매우 중요

10.3 파킨슨병

Parkinson disease : 중뇌 흑질 도파민신경세포 소실로 발생하는 신경퇴행성질환으로 파킨슨병과 이차 파킨슨증후군, 파킨슨플러스증후군 등 포함

  • 영국뇌은행과 EUROPARKINSON 진단기준
  • 일반적 파킨슨병 발생 연관 유전자 보고된 적 없음
  • 음주, 커피 섭취량과 발병 관계는 J곡선

10.4 뇌전증 (seizure disorder)

  • 세계적으로 6,500만 명아 앓고 있는 매우 흔한 질환
  • 선진국 : 10만 명당 40~70명, 개발도상국 : 100~190명
  • 70% 무발작 완치, 20~30% 난치성

10.5 다발경화증

multiple sclerosis : 중추신경계의 탈수초병 중 하나로 시신경, 척수 혹은 뇌의 초점성 증상 등이 나타났다가 다양한 정도로 완화되었다가 수년 후 재발하면서 점차 진행하는 질환

  • 임상양상 기준으로 재발성, 이차 진행성, 일차 진행성, 진행재발성으로 구분
  • MaDonald 진단 기준
  • 고위도 지방, 여성, 백인의 유병률 높음
  • 발병연령은 20~30세로 장기간 장애 진행으로 피해가 크고 오래감
  • 자가면역질환 동반
  • 희귀난치성질환으로 국가지원 가능

 

11. 근골격계질환

치명적이지 않고 점진적으로 진행, 노화와 관련되어 의학적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11.1 골관절염

  • 노화에 따른 관절내 연골과 뼈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 조직의 손상, 통증, 강직, 운동제한을 초래하며 심한 경우 관절 대체 필요
  • 주로 말초 관절부위에 발생
  • 위험요인 : 여성, 연령 증가, 비만, 관절 손상 과거력, 하지 기계적 스트레스(무릎 구부리기, 무거운 물건 들어올리기), 유전적 튿성
  • 1차 예방법 : 외상 방치, 관절 스트레스 조절
  • 2, 3차 예방법 : 완치보다 증상 호전과 기능 향상을 위한 환자교육, 물리치효, 체중조절, 약물치료

11.2 류마티스관절염

  • 만성 다발성 관절염을 일으키는 자가면역성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 없을 시 관절의 손상 및 기능 장애를 남기고 심한겨우 사망에 이르는 만성 염증 질환
  • 침범 관절 통증, 부종, 발적 가장 흔한 증상
  • 비특이정 등상으로 조기진단 어려움
  • 유병률 세계적으로 0.3~2.1%
  • 위험요인 : 호르몬 노츨, 흡연, 식습관, HLA-유전형, 세균 감염
  • 일차 예방이나 선별검사 없고 예방을 위한 보건학적 관리 중요

11.3 골다공증

  • 골량 감소와 질적 변화로 뼈의 강도가 약해져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
  • 손목뼈, 척추, 고관절 자주 발생
  • 골밀도 검사 T값 진단 (-2.5 미만)
  • 폐셩 이후 에스트로겐 감소로 골밀도 현저히 감소
  • 예방법 : 호르몬 대체요법, 체중유지와 칼슘 보조제, 햇볕 노출로 비타민D 합성

 

12. 정신질환

  • 어떤 개체가 고통이나 능력 부전을 경험하고 있거나 고통을 겪을 위험이 현저히 증가된 이상적으로 의미있는 행태적 또는 심리적 증후군 또는 패턴(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DSM)
  • 특정한 사건과 연관되어 있거나 문화적으로 허용되는 반응은 해당하지 않음
  •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도가 낮고, 이환시 의료서비스 이용 비율이 낮아 유병률과 위험요인 파악 어려움
  • 1984년 국내 최초 전국 규모 정신질환 역학조사 (DIS(DSM-III) 적용)
  • 정신질환/알코올 사용장애/니코틴 사용장애 유병률 남자가 높음
  • 주요우울장애 유병률 여자가 높음
  • 조현병 스펙트럼장애 유병률 비슷
  • 불안장애 발생 가능성 여성이 남성보다 2배 더 높음
  • 과거 농경사회 정신진환 질병관에서 산업화 딩행되면서 지역사회정신보건서비스에 대한 수요 확대
    • 지역사회정신보건: 일반일들을 대상으로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주로 공공 기금으로 수행되는 정신보건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골격
    •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
    • 2002년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정신보건사업 시행
    • 2006년 노인정신보건사업 시행

 

13. 자살

suicide : 의도적으로 자기 자신을 죽일 목적으로 손상 및 중독을 유발하는 모든 행위

  • 2000년대 초반부터 우리나라가 OECD국가 중 자살 사망률 1위
  • 2015년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 당 자살 사망률 26.5명
  • 자살예방사업 : 심리적 부검(psychological autopsy),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 정신보건 개입의 스펙트럼 모델

  • 보편적 예방 개입 : 미래에 정신질환을 가질 수 있는 전체 인구집단 대상
  • 선택적 예방 개입 : 현재 정신질환 증상이나 징후은 없지만 장차 정신과적 장애의 위험이 높은 사람 대상 - 우울증 부모의 자녀, 성적 학대 경험 아동 등
  • 지시적 예방 개입 : 정신질환 초기 증상이나 징후를 보이는 사람 대상, 조기 치료나 자해행동 관리 등 포함

 

14. 손상 및 중독

손상(injury) : 과도한 수준의 에너지에 갑자기 맞닿아 생긴 신체의 물리적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신체병변 또는 기능장애
중독(poisoning) : 독성물질 등의 섭취와 흡수에 기인한 화학적 손상과 그로인해 유발되는 광범위한 질환

  • 매년 약 500만 명 손상 사망, 전 세계사망률 9%
  • 손상사망률은 고령에서 높지만, 손상의 사망원인 순위는 젊은 연령에서 더 높음
  • 손상 입원은 남자가 많으나 노인에서는 여자가 높음
  • 손상기전 : 운수사고 > 추락 및 낙상 > 부딪힘 > 자살, 중독, 익수
  • Haddon의 matrix : 손상 요인으로 인간(숙주)의 저항력, 매개, 환경 등으로 예방 가능한 역학적 특성 구분
  • 손상 예방 전략 3 Es : 환경 및 공학(enviornment/engineering), 규제강화(enforcement), 교육(education)

 

 

15. 구강질환

15.1 치아우식증

dental caries : 치아표면의 치면세균막(plaque) 내 미생물에 의해 석회화 조직이 용해되고 파괴되어 발생

  • 치아표면의 미생물 생성 산 확산 $\rightarrow$ 법랑-상아질 방향의 탈회(demine-ralizatrion) $\rightarrow$ 와동형성(cavitation) $\rightarrow$ 치수(pulp) 침범으로 괴사, 국소농양 $\rightarrow$ 치아상실
  • 근본 요인 : 구강 내 다형연쇄구균(mutant Streptococci), 호산성유산간균(Lactobacilli), 낮은 불소함량, 비정상적 치아 위치와 배열, 낮은 타액 유출량과 점도 등

15.2 치주질환

periodontal disease : 세균에 의해 유발되어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치주조직의 염증성 질환

  • 치은염(gingivits) : 표면조직에만 국한된 초기 상태
  • 치주염(periodontitis) : 치아지지조직까지 침범한 상태
  • 평균수명 증가로 치주질환 유병률 지속적 증가
  • 치주질환과 전신질환 관계 보고 증가(관상동맥질환, 당뇨, 신장질환, 골다공증, 저체중 미숙아 출산)

15.3 부정교합

악안면부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상악과 하악의 치아가 정상적으로 맞물리지 못한 상태

  • 발음장애, 저작장애, 악관절장애, 안면 비대칭, 심리적 문제, 발달장애 등의 증상
  • 대부분 선천적 요인이나 발육상의 문제로 성장과 발육에 의해 더욱 악화
  • 음식조리법이나 식이 변화에 따라 지속적 증가 추세
  • 예방을 위해 영유아기의잘못된 습관 교정과 교육 필요

15.4 구강암

구강내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대부분 편평상피세포암 ( 그 외 타액선암, 육종, 악성흑색종, 림프종)

  • 구강내 편평태선(oral lichen planus)과 같은 전암병변의 지속적 관찰과 관리 필요
  • 위험요인 : 흡연, 음주, 씹기, 가족력, HPV, 면역억제제, 자외선
  • 정기적 구강검진으로 이차 예방 중요

15.5 공중구강보건사업을 활용한 구강질환의 예방과 관리

  • 예방보건의료에 의한 관리 중요
  • 임상적 치료와 예방적 조치 함께 적용하는 포괄적 접근 치료
  • 공공예방의료제도 활용으로 집단적 관리 필요
  • 공중구강보건학적 접근 어려운 경우 전반적 건강계획의 우선순위 고려하여 개인적 접근이나 선별검사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