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81%
본문 바로가기

EPIDEMIOLIGY/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계축문화사)

제 11장. 만성질환의 역학

1. 만성질환

1.1 만성질환의 정의

chronic disease : 이환기간이 길고 일반적으로 서서히 진행하는 질환으로 (WHO 2016) 퇴행성질환 만성질환

1.2 만성질환의 역학적 특성

  • 다인자 원인론 : 여러 위험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질병을 일으킨다는 이론으로 만성질환 발생에 적용
  • 자연사의 질병 발생시점 정확히 알기 어렵고, 위험요인 노출시점으로부터 발병까지의 유도기간이 김
  • 발병 이후 완치되기 어려운 상태를 유지하며, 진행 경과가 오래 걸리면서 단계적 기능의 저하나 장애 심화
  • 대부분 비감염성 또는 비전염성질환이나 일부 만성질환은 감염에 의해 발생

1.3 만성질환에 관련된 위험요인의 특성과 관리대책

사회경제, 문화, 정치, 환경적 결정요인 : 세계화, 도시화, 인구고령화

교정가능 위험요인 : 불건강한 식이, 신체활동 부족, 흡연
교정불가능 위험요인 : 나이, 유전

중간단계 위험요인 : 고혈압, 고혈당, 혈중지질이상, 과체중/비만

주요 만성질환 : 심장병, 뇌졸중, 암, 만성호흡기질환, 당뇨

1.4 만성질환의 자연사에 따른 일차, 이차, 삼차 예방

  • 만성질환의 특성에 의해 질병 발생의 모든 단계에 걸치는 포괄적 예방전략이 중요
  •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각 요인들에 대한 노출 감소시키는 일차 예방 역할이 가장 근본적
  • 증상발현 시작 후엔 적절한 치료를 통한 삼차 예방으로 후유증과 장애, 조기사망을 예방
  • 완치가 가능하지 않은 대부분의 만성질환에서 삼차 예방은 사망률을 낮추고 유병률은 증가시키는 효과 있음

1.5 만성질환 감시의 원칙과 방법

  • 만성질환 발생과 관련한 위험요인 노출에 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해석하여 정책결정자나 그 밖의 수요자에게 적시에 제공하는 활동
  • 공중보건의 근본적 기능 중 하나로 추세 변화를 파악하고 미래의 질병부담을 예측하여 중재방안 찾아내는 근거 제공
  • 위험요인의 감시가 반드시 포함
  • 예방의 효과는 발생률과 유병률의 변화로 나타나야 함

WHO STEPS 위험요인 감시체계

  • 네 가지주요 만성질환(심혈관질환, 암, 만성폐질환, 당뇨)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에 대한 조사
    • 생활습관 관련 요인 4가지 : 흡연, 음주, 나쁜 식이습관, 신체활동 부족
    • 생체요인 4가지 : 비만과 과체중, 혈압상승, 혈당상승, 지질이상
  • 저소득 국가들의 만성질환 감시 체계 수립에 도움
  • 적은 양이어도 표준화된 양질의 데이터 수집
  • 각 나라의 다양한 상황에 적용 가능한 정보 제공에 중점
  • 전체 집단 대표 가능 표본 선정

한국의 주요 만성질환 감시체계

이름 담당기관 시작연도 목표인구 자료수집방법 주요대상지표
국민건강영양조사 질병관리본부 1998 전국 표본조사 만성질환 및 위험요인 유병률
지역사회건강조사 질병관리본부 2008 전국(시군구) 표본조사 만성질환 및 위험요인 유병률
손상감시사업1) 질병관리본부 2005 전국 병원기반 심뇌혈관질환 및 손상발생률
암등록사업2) 중앙암등록본부
(국립암센터)
1980 전국 인구기반 발생률, 생존율, 사망률

1) 손상은 일반적으로 만정질환에 포함되지 않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질병관리본부 만성병조사과 감시체계에 통합되어 운영
2) 우리나라 암등록사업은 2005년부터 지역암등록사업과 중앙암등록사업 데이터베이스 통합

1.6 만성질환 취약집단

1) 정의와 특성

vulnerable population : 다른 집단에 비해 만성질환의 위험도가 높은 집단으로 대표적으로 노인 인구

  • 취약집단의 문제는 위험요인보다 집단의 특성에 대한 문제
  • 숙주 특성에 속하는 위험요인
  • 취약집단에서 만성질환 위험도 증가 기전
    • 특정 집단에 속하는 것 자체가 일정하게 위험도 증가
    • 특정 집단에서 여러가지 위험요인들에 대한 노출 집중
    • 다른 집단에 비해 특정 집단의 일부 위험요인의 효과 커짐 (효과수정, 상호작용)

2) 취약집단으로서 노인 인구의 만성질환 특성과 관리방안

  • 노인 만성질환 취약성 특징
    • 노인들은 여러가지 만성질환에 동시에 이환되는 경우 흔함 - 동반 질환 있는 경우 악화과 쉽고 치료가 더 어려움
    • 노인들은 여러 이유로 조기발견 더 어려움
    • 노화로 인해 생리적 기능의 예비능력(reserve capacity)이 줄어 새로운 질병이나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적응력 떨어짐 - 합병증 발생위험 증가
  • 노령은 그 자체로 생물학적 기전에 의한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작용
    • 발암원(carcinogen)에 대한 지속적 노출기간이 노인에서 길기 때문에 암 발생 증가
    • 생물학적 노화는 발암억제능력의 상실 초래
    • 산화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의한 동맥내벽의 염증성 변화

 

2. 암

2.1 정의

세포들이 정상적인 조절기능의 통제를 벗어나서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면서 다른 조직으로 침범하는 질환

  • 암 분류체계 : 세계보건기구 발간 종양학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for Oncology, ICD-O) 기준, 현재 2000년 개정 제3판사용(ICD-O-3)
  • 국제 비교를 위한 암 통계 : 세계보건기구 발간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ICD-10)

2.2 기술역학적 특성

  • 암등록통계 관련 자료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국가암정보센터(http://cancer.go.kr)
  • 세계적으로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대장암이 가장 흔한 암종
  • 전체 사망자의 27.9%가 암으로 사망 (2015,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연보)
  • 남자 5대 암종 :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항문암), 췌장암
  • 여자 5대 암종 : 폐암, 대장암, 위암, 간암, 췌장암
  • 모든 암종에 대한 연령표준화 암사망률 감소 추세(대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예외)

2.3 위험요인

  • 암은 지리적, 시간적으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생황습관과 환경영향의 결과로 생기는 질병으로 암의 발생 증가
  • 주요 원인 : 흡연, 음주, 발암물질에 대한 직업적 노출, 환경오염, 약물, 바이러스, 박테리아, 식이 및 영양상태
  • 세계적으로 암 발생과 사망은 암종별로 지역간 차이가 많음
    • 선진국: 주로 흡연과 서양식 생활양상에 기인한 암 발생 많음
    • 개발도상국: B형 간염, 인유두종바이러스, 헬리코박터 하이로이 등의 만성 감염 관련성 높음
  • 국제암연구소 (http://monographs.iarc.fr) 참조

2.4 예방과 관리

우리나라 암 예방을 위한 국민 암예방 수칙

  1. 담배를 피우지 말고, 남이 피우는 담배 연기도 피하기
  2. 채소와 과일을 충분하게 먹고, 다채로운 식단으로 균형 잡힌 식사하기
  3. 음식을 짜지 않게 먹고, 탄 음식을 먹지 않기
  4. 암 예방을 위하여 하루 한 두잔의 소량 음주도 피하기
  5. 주 5회 이상, 하루 30분 이상, 땀이 날 정도로 걷거나 운동하기
  6. 자신의 체격에 맞는 건강 체중 유지하기
  7. 예방접종 지침에 따라 B형 간염과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받기
  8. 성 매개 감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안전한 성생활 하기
  9. 발암성 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작업장에서 안전 보건 수칙 지키기
  10. 암 조기 검진 지침에 따라 검진을 빠짐없이 받기

 

우리나라 7대암 검진 권고안

 

2.5 우리나라 암관리사업

제3차 암관리 종합계획

  • 비전 : 전 국민을 암으로부터 보호하고 암 전주기에 걸친 환자와 가족이 삶의 질 향상
  • 목표
    • 암발생률을 OECD 평균 수준으로 감소
    • 암 조기발견 및 생존율 증가
    • 암생존자 및 말기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
    • 맞춤형 정밀의료 기반 구축

 

3. 심혈관질환

3.1 정의

  • 심혈관질환(cardiovascular diseases) : 관상동맥질환, 고혈압성 심장질환, 부정맥, 판막질환, 선천성심장질환, 심근증, 심낭질환심부전 등 심장질환과 뇌졸중, 말초혈관질환, 동맥류 등의 혈관질환을 포함하는 질병군
  • 허혈성심질환(ischemic heart disease) :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심근경색증이나 협심증이 이에 해당하며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으로 명명하기도 함
  • 뇌혈관질환 :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짐으로써 그 부분의 뇌가 국소적으로 기능을 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다양한 신경학적 이상이 수반되는 질환으로 뇌출혈(cerebral hemorrhage)과 뇌경색(cerebral infraction)으로 구분하고 뇌졸중(cerebrovascular accident, stoke)이라고도 함

3.2 기술역학적 특성

  • 심혈관질환은 세계적으로 발생 규모와 질병 부담이 매우 큰 질환
  • 2013년 기준 우리나라 허혈성심질환 사망률 가장 낮은 국가에 속하나, 뇌졸중 사망률은 OECD 전체 평균보다 높음
  • 2015넌 사망원인통계 우리나라 전체 사망원인 10.3% 심장질환, 8.9% 뇌혈관질환

3.3 위험요인

  • 고혈압
  • 흡연
  • 고콜레스테롤혈증과 지방섭취

3.4 예방과 관리

  • 우리나라는 심혈관질환의 막대한 규모에 비해 국가적 관리체계 노력 부족
  • 체계적 역학연구를 통해 위험요인을 밝히고 국가적 예방과 관리사업 시행 중요
  • 2016년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

 

4. 고혈압

4.1 정의

성인의 혈압 분류(JNC-7 보고서)

혈압 분류 수축기혈압   이완기 혈압
정상(normal) < 120 이고 < 80
고혈압전단계(prehtpertension) 120~139 또는 80~89
제1기 고혈압(stage 1 prehtpertension) 140~159 또는 90~99
제2기 고혈압(stage 2 prehtpertension) 160 또는 100

4.2 기술역학적 특성

  • 30~50대 남자 유병률 높고 60대 이후 여자 유병률 높음
  • 고혈압 관리 수준 세계적으로 빠르게 향상
  • 고혈압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 모두 향상
    • 고혈압 인지율 : 고혈압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고혈압 진단을 받은 분율
    • 고혈압 치료율 : 고혈압 유병자 중 현재 혈압 강하제를 한 달에 20일 이상 복용한 분율
    • 고혈압 조절률 : 고혈압 유병자 중 수축기혈압이 140mmHg 미만이고 이완기혈압이 90mmHg 미만인 분율

4.3 위험요인

  • 교정할 수 없는 위험요인(non-modifiable risk factors) : 연령, 성, 유전적 감수성
  • 교정 가능 위험요인(modifiable risk factors) : 나트륨 및 칼륨 섭취, 음주, 신체활동 부족, 비만
  • 잠재적 위험요인(potential risk factors) : 출생시 저체중, 사회 경제적 상태, 인슐린저항성, 영양소 섭취 과부족, 경도 만성 염증, 스트레스

4.4 예방과 관리

생활습관 개선 권고사항 수축기혈압 감소
체중감소 정상체중 유지 5~20mmHg
DASH* 식습관 실천 과일, 채소가 풍부하고 포화지방 및 총지방이 적은 식이 8~14mmHg
소금섭취량 감소 하루 100mmol 이하의 소급 섭취 (2.4g sodium 또는 6g as NaCl) 2~8mmHg
운동 정기적 유산소 운동 하루 30분 이상 4~9mmHg
절주 남자 : 하루 2잔 이하 알코올 섭취
여자, 마른 사람 : 하루 1잔 이하 알코올 섭취
2~4mmHg

 

5. 당뇨병

5.1 정의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부족이나 세포에서의 인슐린 저항으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만성적이고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질병

  • 대표적 증상 : 다뇨(polyurea), 다음(polydypsia), 다식(polyphagia)
  • 제1형 당뇨병 : 인슐린 의존형. 췌장 베타세포의 파괴로 인한 인슐린 결핍이 특징, 만 14세 이전 발병
  • 제2형 당뇨병: 인슐린 저항성과 상대적 인슐린 부족, 40세 이후 성인 발병

당뇨병 진단기준

  1. 달화혈색소 6.5% 또는
  2. 8시간 이상 공복혈장혈당 126mg/dL 또는
  3. 75g 경구포도당부하검사 후 2시간 혈장혈당 200mg/dL 또는
  4. 당뇨병의 전형적 증상과 임의 혈장혈당 200mg/dL

당뇨 전 단계(prediabetes) 기준

  1. 75g 경구포도당부하검사 후 2시간 혈장혈당 140mg/dL 이상 199mg/dL 이하(내당능장애)
  2. 8시간 이상 공복혈장혈당 100mg/dL 이상 125mg/dL 이하(공복혈당장애)
  3. 당화혈색소 5.7% 이상 6.4% 이하

5.2 기술역학적 특성

  •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 증가 (특히 제2형)
  • 사망 원인으로 집계되지 않고 간과되는 경향
  • 사회경제적 수준과 연관성 : 소득이 낮은 집단 유병률이 높음

5.3 위험요인

  • 제1형 당뇨병 : 췌장 소도세포 항체 유무, 소도세포 항체양, HLA 지표, GAD 항체, 인슐린 자가항체, 콕사키(Coxsackie) 바이러스 감염
  • 제2형 당뇨병: 나이, 비만, 가족력, 출생 시 체중, 인종, 운동량, 영양상태, 생활습관, 환경 변화

5.4 예방과 관리

  • 일차예방 : 전체 인구집단 대상으로 과체중, 운동부족, 식습관 등 체계적 관리
  • 이차예방 : 조기발견으로 합병증 최소화
  • 삼차예방 : 혈당의 엄격한 조절 및 모니터링 - 자가혈당측정, 당화혈색소

 

6. 대사증후군

6.1 정의와 진단기준

개념적으로 당뇨병이나 심뇌혈관질환과 함계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대사 이상 징후들의 유병상태

진단 항목 진단 수치
허리둘레 남자 90cm, 여자 85cm
중성지방 150mg/dL 또는 약물치료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남자 < 40mg/dL, 여자 < 50mg/dL 또는 약물치료
고혈압 수축기/이완기 130/85mmHg 또는 약물치료
고혈당 공복혈당 100mg/dL 또는 약물치료

6.2 기술역학적 특성

  • 요인별 유병률 고혈압 유병률 가장 높음
  • 70세 이상 인구의 70%, 650대 인구의 60% 가량 대사증후군 관련 진료인원

6.3 위험요인

  • 비만, 폐경상태, 흡연, 낮은 가구소득, 고탄수화물 식이, 신체활동량 부족, 청량/과당음료 섭취

6.4 예방과 관리

  • 일반적인 건강증진 관리방법으로 수축기 혈압과 복부비만 감소

 

7. 만성폐쇄성폐질환

7.1 정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 만성적으로 기도 폐쇄를 통해 내쉬는 숨의 제한을 가져오게 되는 질환으로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 등이 있음

  • 기관지확장증, 폐쇄성세기관지염, 낭포성섬유증, 폐결핵 후유증, 천식 등에 의한 기도 폐쇄 제외
  • 최근 전신 질환으로 보는 견해 대두

7.2 기술역학적 특성

  • 흡연 태도, 담배 종류, 기후와 대기오염 정도, 유전적 차이 등으로 COPD 환자 사망률은 세계적으로 차이가 많음
  • 흡연자의 15% 정도 COPD 발병 추정

7.3 위험요인

확정 정도

환경적 인자

숙주 인자

확정적

흡연

일부 직업성 노출

알파-1-항 트립신 결집증

상당한 증거

직업성 노출

대기오염(아황산가스, 미립자물)

빈곤, 낮은 사회경제 수준

음주

소아기 간접흡연

기도 과민반응

아토피(면역글로불린 E 상승)

출생시 저체중

소아기 호흡기 감염

가족력

잠정적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비타민C 식이 부족

유전적 소인

혈액형A

면역글로불린 A 비분비자

 

7.4 예방과 관리

  • 금연이 가장 중요
  • 인플루엔자와 폐렴 구균에 대한 예방접종
  • 기관지확장제를 이용한 약물 치료, 호흡 재활 치료(교육, 운동치료, 행동변화, 효과판정 등)

 

8. 신장질환

  • 만성신질환 : 3개월 이상 단백뇨, 혈뇨 혹은 방사선적, 병리학적 검사 증에서 신장 손상의 증거가 있거나 혈청 크레아티닌을 이용하여 계산한 사구체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이 60ml/min/1.73m2 미만인 경우
  • 만성신질환 분류 5단계
단계 신장 기능 GFR (ml/min/1.73m2) 신장 손상의 증거
1단계 정상 60
2단계 경미하게 감소 60~89
3단계 중증도로 감소 30~59  
4단계 심하게 감소 15~29  
5단계 투석 < 15 신부전
  • 세계적으로 만성신질환 유병률 증가 (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증가)
  • 과거- 만성사구체신염, 최근- 고혈압, 당뇨병이 주요 위험요인
  • 인종간 위험요인 분포와 보건의료서비스 접근 차이로 사회경제 상태가 낮은 계층에서 높은 유병률
  • 만성신질환은 심혈관질환의 중요한 위혐요인
  •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므로 고위험 집단에 대한 선별검사와 감시체계 필요

 

9. 소화기질환

9.1 소화성궤양(peptic ucler disease)

  • 헬리코박터 감염이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
  • 인구 고령화로 환자 분율 증가

9.2 간경변, 만성간질환, 알코올성 간질환

  • 간질환 사망률 꾸준히 감소
  • 만성간질환은 간경변증으로 진행
  • 간경변 감소, 알코올성 간경변, 간경변증 유병률 증가

9.3 염증성 장질환

  • 장에 발생하는 원인불명의 만성적인 염증으로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 지칭
  • 우리나라 염증성 장질환 환자 빠르게 증가
  • 궤양성 대장염은 1년 내 30%, 10년 안에 88% 환자 재발

9.4 기능성 소화기질환(기능성 위장장애, 과민성대장증후군 등)

  • 다른 기질적 질환 없이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복통, 복부팽배감, 배변습관의 변화 등 위장관증상을 동반하는 증후군
  • 젊은 연령, 여성, 우울증, 심리적 스트레스 등이 주요 위험요인
  • 만성질환으로 의사와 환자간의 좋은 관계 형성이 치료의 성패에 중요

 

10. 신경질환

10.1 신경질환의 특성

  • 신경퇴행성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 중추 및 말초 신경계의 신경 세포에 퇴행성 변화로 여러가지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
  • 인구 노령화와 더불어 유병률 급격히 증가

10.2 치매

dementia : 후천적 뇌질환으로 기억장애를 포함한 다영역에 걸친 인지기능장애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장애를 겪는 상태

  • ICD-10, DSM-IV, NOINCDS-ADRDA 등의 진단 기준 적용
  • 알츠하이머병이 전체 원인의 60~70%, 혈관성 치매 30%
  • 신경퇴행성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미주 및 유럽지역이 아시아지역에 비해 높음
  • 국내는 알츠하이머병 분율 높고 여성 유병률 높음
  •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 정상에서 치매로 이행되는 중간단계로 인지기능장애는 있으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장애는 없는 상태, 연간 10~15%가 치매로 이행
  • 생애초기부터 전생애에 걸쳐 진행되므로 조기예방 매우 중요

10.3 파킨슨병

Parkinson disease : 중뇌 흑질 도파민신경세포 소실로 발생하는 신경퇴행성질환으로 파킨슨병과 이차 파킨슨증후군, 파킨슨플러스증후군 등 포함

  • 영국뇌은행과 EUROPARKINSON 진단기준
  • 일반적 파킨슨병 발생 연관 유전자 보고된 적 없음
  • 음주, 커피 섭취량과 발병 관계는 J곡선

10.4 뇌전증 (seizure disorder)

  • 세계적으로 6,500만 명아 앓고 있는 매우 흔한 질환
  • 선진국 : 10만 명당 40~70명, 개발도상국 : 100~190명
  • 70% 무발작 완치, 20~30% 난치성

10.5 다발경화증

multiple sclerosis : 중추신경계의 탈수초병 중 하나로 시신경, 척수 혹은 뇌의 초점성 증상 등이 나타났다가 다양한 정도로 완화되었다가 수년 후 재발하면서 점차 진행하는 질환

  • 임상양상 기준으로 재발성, 이차 진행성, 일차 진행성, 진행재발성으로 구분
  • MaDonald 진단 기준
  • 고위도 지방, 여성, 백인의 유병률 높음
  • 발병연령은 20~30세로 장기간 장애 진행으로 피해가 크고 오래감
  • 자가면역질환 동반
  • 희귀난치성질환으로 국가지원 가능

 

11. 근골격계질환

치명적이지 않고 점진적으로 진행, 노화와 관련되어 의학적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11.1 골관절염

  • 노화에 따른 관절내 연골과 뼈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 조직의 손상, 통증, 강직, 운동제한을 초래하며 심한 경우 관절 대체 필요
  • 주로 말초 관절부위에 발생
  • 위험요인 : 여성, 연령 증가, 비만, 관절 손상 과거력, 하지 기계적 스트레스(무릎 구부리기, 무거운 물건 들어올리기), 유전적 튿성
  • 1차 예방법 : 외상 방치, 관절 스트레스 조절
  • 2, 3차 예방법 : 완치보다 증상 호전과 기능 향상을 위한 환자교육, 물리치효, 체중조절, 약물치료

11.2 류마티스관절염

  • 만성 다발성 관절염을 일으키는 자가면역성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 없을 시 관절의 손상 및 기능 장애를 남기고 심한겨우 사망에 이르는 만성 염증 질환
  • 침범 관절 통증, 부종, 발적 가장 흔한 증상
  • 비특이정 등상으로 조기진단 어려움
  • 유병률 세계적으로 0.3~2.1%
  • 위험요인 : 호르몬 노츨, 흡연, 식습관, HLA-유전형, 세균 감염
  • 일차 예방이나 선별검사 없고 예방을 위한 보건학적 관리 중요

11.3 골다공증

  • 골량 감소와 질적 변화로 뼈의 강도가 약해져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
  • 손목뼈, 척추, 고관절 자주 발생
  • 골밀도 검사 T값 진단 (-2.5 미만)
  • 폐셩 이후 에스트로겐 감소로 골밀도 현저히 감소
  • 예방법 : 호르몬 대체요법, 체중유지와 칼슘 보조제, 햇볕 노출로 비타민D 합성

 

12. 정신질환

  • 어떤 개체가 고통이나 능력 부전을 경험하고 있거나 고통을 겪을 위험이 현저히 증가된 이상적으로 의미있는 행태적 또는 심리적 증후군 또는 패턴(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DSM)
  • 특정한 사건과 연관되어 있거나 문화적으로 허용되는 반응은 해당하지 않음
  •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도가 낮고, 이환시 의료서비스 이용 비율이 낮아 유병률과 위험요인 파악 어려움
  • 1984년 국내 최초 전국 규모 정신질환 역학조사 (DIS(DSM-III) 적용)
  • 정신질환/알코올 사용장애/니코틴 사용장애 유병률 남자가 높음
  • 주요우울장애 유병률 여자가 높음
  • 조현병 스펙트럼장애 유병률 비슷
  • 불안장애 발생 가능성 여성이 남성보다 2배 더 높음
  • 과거 농경사회 정신진환 질병관에서 산업화 딩행되면서 지역사회정신보건서비스에 대한 수요 확대
    • 지역사회정신보건: 일반일들을 대상으로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주로 공공 기금으로 수행되는 정신보건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골격
    •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
    • 2002년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정신보건사업 시행
    • 2006년 노인정신보건사업 시행

 

13. 자살

suicide : 의도적으로 자기 자신을 죽일 목적으로 손상 및 중독을 유발하는 모든 행위

  • 2000년대 초반부터 우리나라가 OECD국가 중 자살 사망률 1위
  • 2015년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 당 자살 사망률 26.5명
  • 자살예방사업 : 심리적 부검(psychological autopsy),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 정신보건 개입의 스펙트럼 모델

  • 보편적 예방 개입 : 미래에 정신질환을 가질 수 있는 전체 인구집단 대상
  • 선택적 예방 개입 : 현재 정신질환 증상이나 징후은 없지만 장차 정신과적 장애의 위험이 높은 사람 대상 - 우울증 부모의 자녀, 성적 학대 경험 아동 등
  • 지시적 예방 개입 : 정신질환 초기 증상이나 징후를 보이는 사람 대상, 조기 치료나 자해행동 관리 등 포함

 

14. 손상 및 중독

손상(injury) : 과도한 수준의 에너지에 갑자기 맞닿아 생긴 신체의 물리적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신체병변 또는 기능장애
중독(poisoning) : 독성물질 등의 섭취와 흡수에 기인한 화학적 손상과 그로인해 유발되는 광범위한 질환

  • 매년 약 500만 명 손상 사망, 전 세계사망률 9%
  • 손상사망률은 고령에서 높지만, 손상의 사망원인 순위는 젊은 연령에서 더 높음
  • 손상 입원은 남자가 많으나 노인에서는 여자가 높음
  • 손상기전 : 운수사고 > 추락 및 낙상 > 부딪힘 > 자살, 중독, 익수
  • Haddon의 matrix : 손상 요인으로 인간(숙주)의 저항력, 매개, 환경 등으로 예방 가능한 역학적 특성 구분
  • 손상 예방 전략 3 Es : 환경 및 공학(enviornment/engineering), 규제강화(enforcement), 교육(education)

 

 

15. 구강질환

15.1 치아우식증

dental caries : 치아표면의 치면세균막(plaque) 내 미생물에 의해 석회화 조직이 용해되고 파괴되어 발생

  • 치아표면의 미생물 생성 산 확산 \rightarrow 법랑-상아질 방향의 탈회(demine-ralizatrion) \rightarrow 와동형성(cavitation) \rightarrow 치수(pulp) 침범으로 괴사, 국소농양 \rightarrow 치아상실
  • 근본 요인 : 구강 내 다형연쇄구균(mutant Streptococci), 호산성유산간균(Lactobacilli), 낮은 불소함량, 비정상적 치아 위치와 배열, 낮은 타액 유출량과 점도 등

15.2 치주질환

periodontal disease : 세균에 의해 유발되어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치주조직의 염증성 질환

  • 치은염(gingivits) : 표면조직에만 국한된 초기 상태
  • 치주염(periodontitis) : 치아지지조직까지 침범한 상태
  • 평균수명 증가로 치주질환 유병률 지속적 증가
  • 치주질환과 전신질환 관계 보고 증가(관상동맥질환, 당뇨, 신장질환, 골다공증, 저체중 미숙아 출산)

15.3 부정교합

악안면부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상악과 하악의 치아가 정상적으로 맞물리지 못한 상태

  • 발음장애, 저작장애, 악관절장애, 안면 비대칭, 심리적 문제, 발달장애 등의 증상
  • 대부분 선천적 요인이나 발육상의 문제로 성장과 발육에 의해 더욱 악화
  • 음식조리법이나 식이 변화에 따라 지속적 증가 추세
  • 예방을 위해 영유아기의잘못된 습관 교정과 교육 필요

15.4 구강암

구강내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대부분 편평상피세포암 ( 그 외 타액선암, 육종, 악성흑색종, 림프종)

  • 구강내 편평태선(oral lichen planus)과 같은 전암병변의 지속적 관찰과 관리 필요
  • 위험요인 : 흡연, 음주, 씹기, 가족력, HPV, 면역억제제, 자외선
  • 정기적 구강검진으로 이차 예방 중요

15.5 공중구강보건사업을 활용한 구강질환의 예방과 관리

  • 예방보건의료에 의한 관리 중요
  • 임상적 치료와 예방적 조치 함께 적용하는 포괄적 접근 치료
  • 공공예방의료제도 활용으로 집단적 관리 필요
  • 공중구강보건학적 접근 어려운 경우 전반적 건강계획의 우선순위 고려하여 개인적 접근이나 선별검사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