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은 숙주, 병인 및 환경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기인
- 매개체가 상호작용에 연루
- 숙주의 감수성은 유선적 요인, 영양상태, 면역학적 특성 포함 요인의 다양성으로 결정
- 인간의 질병 초래 요인
- 숙주요인 : 연령, 성별, 인종, 종교, 관습, 직업, 유전자 형태, 결혼 상태, 가족적 배경, 질병력, 면역 상태
- 병인요인(예) : 생물학적 요인(박테리아 바이러스), 화학적 요인(독성 물질, 알코올 매연), 물리적 요인(충격, 방사능 화염), 영양 요인(부족, 과다)
- 환경요인 : 온도, 습도, 고도, 인구밀집정도, 주택, 이웃, 식수, 우유, 음식, 방사능, 환경오염, 소음
Modes of Transmission(전파의 형태)
질병 전파의 형태
- 직접전파 : 사람과 사람 간
- 간접전파
- vehicle(공동 매개물) : 단독노출, 다중노출, 지속적 노출
- vector(매개체)
인체 감염
- 한 가지 이상의 투입경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
- 비감염성 질환도 동일 인체 내 투입경로 적용 가능
- 환경내 독성물질 : 입을 통한 섭취, 호흡 중 흡입, 피부를 통해 가능
Clinical and Subclinical Disease (임상적 현성 및 블현성 질환)
- 질병은 다양한 중증도의 범위를 지님
- 중증도는 세균의 독성과 관련, 세균의 증식 장소와 관련
- 질병의 임상상태는 현성 질환 및 불현성 질환 포함
- 임상적(현성) 질병 : 소견(sign), 증상
- 비임상적(불현성) 질병 : Preclinical(임상전단계) / Subclinical(잠복단계) / Persistent(chronic)(지속적(만성)) / Latent (잠재기) Disease
Carrier Status (보균자 상태)
- 숙주가 병원체를 지니고 있으나 혈철학적 검사나임상적 증상에 의해 비감연 상태로 구분
- 감염력은 낮아도 타인 감염시킬 수 있음
Endemic, Epidemic and Pandemic (풍토병, 유행, 범유행)
- endemic : 일정한 지역에 어떤 질병이 습관적으로/일상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
- epidemic : 유사한 특성을 지닌 질병균이 일정한 지역에서 기대치보다 많이 발생하는 경우, 공통적이거나 전파된 원인에서 기인
- pandemic : epidemic이 범세계적으로 발생한 경우
Disease Outbreaks (질병 유행의 발생)
- 공통 매개물 노출(common-vehicle exposure)
- 단일 노출(single exposure) / 중복 노출(multiple exposure)
- 주기적(periodic) / 지속적(continuous)
단일 노출, 공통매개물로 인한 질병 유행 발생의 특성
- 폭발적 유행
- 질병에 걸린 사람은 모두 노출인자에 폭로된 사람
- 식중독 유행시 초기 환자 통해 거의 감염되지 않음
Determinants of Disease Outbreaks (질병 유행의 결정인자)
- 감염되기 쉬운 사람과 질병에 걸릴 위험이 없는 사람(면역 상태)의 수 사이의 균형에 의해 질병자 수 결정
- 면역과 감수성 사이의 균형이 깨지면서 감수성 방향으로 이동시 질병 유행 가능성 높아짐
Herd Immunity (집단면역)
- 정의 : 대상집단 구성원의 큰 비율이 면역을 가진 상태에서 질병 공격을 받을 경우 집단이 질병 유행 발생에 대해 저항성을 지니는 것
- 이유 : 질병 전파는 사람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 집단 내에서 면역자가 많을수록 감염자가 감수성자를 만날 가능성 감소
- 조건
- 질병 전파 과정에서 숙주는 하나의 종(species)으로 제한
- 직접전파에 의한 기전으로 전파
- 감염 후 완전 면역형성
- 인구 집단 내에서 감염자가 다른 대상자를 접할 확률 동일
- 집단 면역 성취 정도는 사람들이 무작위로 섞인 정도에 좌우
- 집단 면역 작용 면역 비율는 질병에 따라 상이
Incubation Period (잠복기)
- 정의 : 병원체 감염 후 증상 발현 때까지의 기간 (임상적 증상을 나타내기 이전 기간)
- 잠복기 동안 징후 없음
- 병원체가 체내에 증식하여 임상증상을 나타낼 양에 이르기까지의 시간 반영
- 증식 장소 (피부, 피부표면 근처, 신체 내부)에 따라 영향
- 노출된 병원체의 양에 따라 영향 (병원체 양 많을수록 잠복기 짧음)
- quarantine (건강 격리) : 흑사병에서 유래한, 여행자들을 외딴 장소에 격리하여 환자 발생 여부 관찰
- 임상기를 나타낸 후 격리는 비효과적인 편
- SARS(급성호흡기증후군)의 경우 감염지역 여행 여부로 조기 격리하여 타인과의 접촉을 억제시킴으로써 효과적 작용
- 잠복기 기간에 따른 감염체의 특징
- 유행곡선 : 노출 후 특정 시간에 나타난 질병자의 수 막대그래프의 연결선
- 단일 노출, 공통 매개물의 동일 오염원의 노출에 의한 질병 발생에서 잠복기의 분포를 나타냄
- 로그화 시킬 경우 정규분포 곡선
- 유행 조사 시 3가지 중요변수
- 언제 노출이 일어났는가?
- 질병이 언제 시작되었는가?
- 질병의 잠복기는 얼마인가?
유행 발생에 대한 조사단계
- 연역적 또는 귀납적
- 감염성 질환의 급성 유행 발생에 대한 조사시 중요 고려 사항
- 질병 유해 발생의 실제 발생 여부 규명
- 질병이 발생할 위험 대상 범위 한정
- 전파방식과 보균자의 규명
- 원인균의 규명
- 단계
- 현 상황이 실제 질병 유행이 발생한 것인지 정의하고, 질병 유행임을 증명
a. 분자환자) 정의
(1) 임상적 형태 : 알려진 질병인가?
(2) 혈청학적 및 배양에서의 특징은 무엇인가?
(3) 발생 원인을 일부러라도 이해할 수 있는가?
b. 분모 정의 : 질병 발생 위험에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c. 관찰된 환자 수가 기대수를 확실하게 초과하는지 결정
d. 발병률 계산 - 환자 분류
a. 시간
b. 장소
시간과 장소의 상호작용 규명 - 관련변수들의 병합(상호)작용 규명
- 가설설정
a. 질병에 대한 지금까지의 지식
b. 기존에 알려진 원인들과의 관련성 유추
c. 발생 조사단계에서 발견된 사항들 - 가설검증
a. 자료들에 대해 더 분석 (환자-대조군 연구)
b. 가설을 더 세밀화하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자료 수집 - 대처방안 제시
a. 현재 발생한 유행 통제
b. 향후 유사한 질병 발생 예방 - 조사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보고서 작성
- 조사결과로 정책 입안 및 시행 관계자들, 일반대중과 의견 교환
- 현 상황이 실제 질병 유행이 발생한 것인지 정의하고, 질병 유행임을 증명
Attack Rate (발병률)
- 위험에 노출된 대상자 중에서 해당 질병이 발생한 환자 수 / 위험에 노출된 대상자 총 수
- 발생률(보다 덜 급성인 질병에서 사용)과 유사
- 서로 다른 노출을 가진 집단 간의 질병 발생의 위험률 비교하는 데 유용
- 노출 인자에 따라 구체적으로 표현 가능
- 시간은 이미 알고 있다고 전제
- 1차 환자 :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질병에 걸린 사람
- 2차 환자 : 1차 환자에 노출되어 질병에 걸린 사람
- 2치 발병률
- 2차 환자의 발병률
- 사람 사이의 직접적으로 전파되는 경우 정도 표현으로 좋은 척도
- index case(지표환자)의 가족 대상으로 흔히 계산
- 비전염성 질환에도 적용
- 환경과 유전적 요인이 해당 질병에 기여하는 정도 가늠 지표
Exploring the Occurance of Disease (질병 발생에 대한 탐색)
질병 발생 탐색 기본 틀
- Who : 누가 이 질병에 걸렸는가? (인간 숙주의 특성이 질병 위험률과 연관)
- When : 언제 이 질병이 발생하였는가? (질병 발생의 장기적 추세 표현시 적용)
- Where : 어디서 이 질병이 발생하였는가? (원인 요인과 질병의 분포 유사)
Outbreak Investigation (유행조사)
Cross-Tabulation (분할표)
몇몇 가능한 원인 인자에 대해 어떤 요인이 실제적으로 적용했는지 알아보기 위한 표로서 복수 원인요인들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넓게 응용 가능(15장 참고)
Conclusion (결론)
- 감영성 질환과 비감염성 질환의 경계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음
- 비감염성 질환에서도 전파 양상 유사
'EPIDEMIOLIGY > Leon Gord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05. 진단 및 선별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 (0) | 2020.02.20 |
---|---|
연습문제 (0) | 2020.01.06 |
Chap04. 질병발생의 측정 : 2. 사망률 (0) | 2020.01.06 |
Chap03. 질병발생의 측정: 1. 이환율 (0) | 2020.01.04 |
Chap01. 서론 (0) | 2019.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