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PIDEMIOLIGY/Leon Gordis

Chap02. 질병 전파의 기전

  • 질병은 숙주, 병인 및 환경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기인
  • 매개체가 상호작용에 연루
  • 숙주의 감수성은 유선적 요인, 영양상태, 면역학적 특성 포함 요인의 다양성으로 결정
  • 인간의 질병 초래 요인
    • 숙주요인 : 연령, 성별, 인종, 종교, 관습, 직업, 유전자 형태, 결혼 상태, 가족적 배경, 질병력, 면역 상태
    • 병인요인(예) : 생물학적 요인(박테리아 바이러스), 화학적 요인(독성 물질, 알코올 매연), 물리적 요인(충격, 방사능 화염), 영양 요인(부족, 과다)
    • 환경요인 : 온도, 습도, 고도, 인구밀집정도, 주택, 이웃, 식수, 우유, 음식, 방사능, 환경오염, 소음



Modes of Transmission(전파의 형태)

질병 전파의 형태

  • 직접전파 : 사람과 사람 간
  • 간접전파
    • vehicle(공동 매개물) : 단독노출, 다중노출, 지속적 노출
    • vector(매개체)

인체 감염

  • 한 가지 이상의 투입경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
  • 비감염성 질환도 동일 인체 내 투입경로 적용 가능
  • 환경내 독성물질 : 입을 통한 섭취, 호흡 중 흡입, 피부를 통해 가능



Clinical and Subclinical Disease (임상적 현성 및 블현성 질환)

  • 질병은 다양한 중증도의 범위를 지님
  • 중증도는 세균의 독성과 관련, 세균의 증식 장소와 관련
  • 질병의 임상상태는 현성 질환 및 불현성 질환 포함
    • 임상적(현성) 질병 : 소견(sign), 증상
    • 비임상적(불현성) 질병 : Preclinical(임상전단계) / Subclinical(잠복단계) / Persistent(chronic)(지속적(만성)) / Latent (잠재기) Disease



Carrier Status (보균자 상태)

  • 숙주가 병원체를 지니고 있으나 혈철학적 검사나임상적 증상에 의해 비감연 상태로 구분
  • 감염력은 낮아도 타인 감염시킬 수 있음



Endemic, Epidemic and Pandemic (풍토병, 유행, 범유행)

  • endemic : 일정한 지역에 어떤 질병이 습관적으로/일상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
  • epidemic : 유사한 특성을 지닌 질병균이 일정한 지역에서 기대치보다 많이 발생하는 경우, 공통적이거나 전파된 원인에서 기인
  • pandemic : epidemic이 범세계적으로 발생한 경우



Disease Outbreaks (질병 유행의 발생)

  • 공통 매개물 노출(common-vehicle exposure)
    • 단일 노출(single exposure) / 중복 노출(multiple exposure)
    • 주기적(periodic) / 지속적(continuous)

단일 노출, 공통매개물로 인한 질병 유행 발생의 특성

  • 폭발적 유행
  • 질병에 걸린 사람은 모두 노출인자에 폭로된 사람
  • 식중독 유행시 초기 환자 통해 거의 감염되지 않음



Determinants of Disease Outbreaks (질병 유행의 결정인자)

  • 감염되기 쉬운 사람과 질병에 걸릴 위험이 없는 사람(면역 상태)의 수 사이의 균형에 의해 질병자 수 결정
  • 면역과 감수성 사이의 균형이 깨지면서 감수성 방향으로 이동시 질병 유행 가능성 높아짐



Herd Immunity (집단면역)

  • 정의 : 대상집단 구성원의 큰 비율이 면역을 가진 상태에서 질병 공격을 받을 경우 집단이 질병 유행 발생에 대해 저항성을 지니는 것
  • 이유 : 질병 전파는 사람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 집단 내에서 면역자가 많을수록 감염자가 감수성자를 만날 가능성 감소
  • 조건
    • 질병 전파 과정에서 숙주는 하나의 종(species)으로 제한
    • 직접전파에 의한 기전으로 전파
    • 감염 후 완전 면역형성
    • 인구 집단 내에서 감염자가 다른 대상자를 접할 확률 동일
      • 집단 면역 성취 정도는 사람들이 무작위로 섞인 정도에 좌우
    • 집단 면역 작용 면역 비율는 질병에 따라 상이



Incubation Period (잠복기)

  • 정의 : 병원체 감염 후 증상 발현 때까지의 기간 (임상적 증상을 나타내기 이전 기간)
  • 잠복기 동안 징후 없음
  • 병원체가 체내에 증식하여 임상증상을 나타낼 양에 이르기까지의 시간 반영
  • 증식 장소 (피부, 피부표면 근처, 신체 내부)에 따라 영향
  • 노출된 병원체의 양에 따라 영향 (병원체 양 많을수록 잠복기 짧음)
  • quarantine (건강 격리) : 흑사병에서 유래한, 여행자들을 외딴 장소에 격리하여 환자 발생 여부 관찰
    • 임상기를 나타낸 후 격리는 비효과적인 편
    • SARS(급성호흡기증후군)의 경우 감염지역 여행 여부로 조기 격리하여 타인과의 접촉을 억제시킴으로써 효과적 작용
  • 잠복기 기간에 따른 감염체의 특징
    • 유행곡선 : 노출 후 특정 시간에 나타난 질병자의 수 막대그래프의 연결선
    • 단일 노출, 공통 매개물의 동일 오염원의 노출에 의한 질병 발생에서 잠복기의 분포를 나타냄
    • 로그화 시킬 경우 정규분포 곡선
  • 유행 조사 시 3가지 중요변수
    • 언제 노출이 일어났는가?
    • 질병이 언제 시작되었는가?
    • 질병의 잠복기는 얼마인가?

유행 발생에 대한 조사단계

  • 연역적 또는 귀납적
  • 감염성 질환의 급성 유행 발생에 대한 조사시 중요 고려 사항
    • 질병 유해 발생의 실제 발생 여부 규명
    • 질병이 발생할 위험 대상 범위 한정
    • 전파방식과 보균자의 규명
    • 원인균의 규명
  • 단계
    1. 현 상황이 실제 질병 유행이 발생한 것인지 정의하고, 질병 유행임을 증명
      a. 분자환자) 정의
      (1) 임상적 형태 : 알려진 질병인가?
      (2) 혈청학적 및 배양에서의 특징은 무엇인가?
      (3) 발생 원인을 일부러라도 이해할 수 있는가?
      b. 분모 정의 : 질병 발생 위험에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c. 관찰된 환자 수가 기대수를 확실하게 초과하는지 결정
      d. 발병률 계산
    2. 환자 분류
      a. 시간
      b. 장소
      시간과 장소의 상호작용 규명
    3. 관련변수들의 병합(상호)작용 규명
    4. 가설설정
      a. 질병에 대한 지금까지의 지식
      b. 기존에 알려진 원인들과의 관련성 유추
      c. 발생 조사단계에서 발견된 사항들
    5. 가설검증
      a. 자료들에 대해 더 분석 (환자-대조군 연구)
      b. 가설을 더 세밀화하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자료 수집
    6. 대처방안 제시
      a. 현재 발생한 유행 통제
      b. 향후 유사한 질병 발생 예방
    7. 조사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보고서 작성
    8. 조사결과로 정책 입안 및 시행 관계자들, 일반대중과 의견 교환



Attack Rate (발병률)

  • 위험에 노출된 대상자 중에서 해당 질병이 발생한 환자 수 / 위험에 노출된 대상자 총 수
  • 발생률(보다 덜 급성인 질병에서 사용)과 유사
  • 서로 다른 노출을 가진 집단 간의 질병 발생의 위험률 비교하는 데 유용
  • 노출 인자에 따라 구체적으로 표현 가능
  • 시간은 이미 알고 있다고 전제
  • 1차 환자 :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질병에 걸린 사람
  • 2차 환자 : 1차 환자에 노출되어 질병에 걸린 사람
  • 2치 발병률
    • 2차 환자의 발병률
    • 사람 사이의 직접적으로 전파되는 경우 정도 표현으로 좋은 척도
    • index case(지표환자)의 가족 대상으로 흔히 계산
    • 비전염성 질환에도 적용
    • 환경과 유전적 요인이 해당 질병에 기여하는 정도 가늠 지표



Exploring the Occurance of Disease (질병 발생에 대한 탐색)

질병 발생 탐색 기본 틀

  • Who : 누가 이 질병에 걸렸는가? (인간 숙주의 특성이 질병 위험률과 연관)
  • When : 언제 이 질병이 발생하였는가? (질병 발생의 장기적 추세 표현시 적용)
  • Where : 어디서 이 질병이 발생하였는가? (원인 요인과 질병의 분포 유사)

 

 

Outbreak Investigation (유행조사)

Cross-Tabulation (분할표)

몇몇 가능한 원인 인자에 대해 어떤 요인이 실제적으로 적용했는지 알아보기 위한 표로서 복수 원인요인들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넓게 응용 가능(15장 참고)



Conclusion (결론)

  • 감영성 질환과 비감염성 질환의 경계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음
  • 비감염성 질환에서도 전파 양상 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