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PIDEMIOLIGY/Leon Gordis

Chap04. 질병발생의 측정 : 2. 사망률

  • 사망률은 질병 중증도의 측정치로서 도움
  • 질병의 치료가 시간에 따라 더 효과적인지 확인하는데 도움
  • 질병이 위중하고 피명적일 때 발생률의 대리 측정치로 사용 가능

 

Measures of Mortality (사망률의 측정)

  • 사망의 위험을 언급하고자할 때, rates(비율)로 다루어야 함
  • 연령과 관련된 사망률에 높은 관심

 

Mortality Rates(사망률)

모든 원인의 연사망률 (인구 1,000명당) = 1년간 모든 원인의 사망자 총 수 / 연앙인구 x 1,000

    • 일반적으로 한 해의 중간시점 인구 근사치 사용
    • 합당한 사망률이기 위해 분모의 모든 사람이 분자로 들어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야 함
    • 반드시 시간이 지정되어야 함 (1년, 5년 또는 그 이상 임의 선택 가능)
    • specific rate (특수율) : 성별 또는 일부 인종의 특정 연령 그룹에 대한 특수한 비율 산출

10세 미만 어린이의 모든 원인의 연사망률 (인구 1,000명당) = 10세 미만 어린이의 1년간 모든 원인의 사망자 총 수 / 10세 미만 어린이의 연앙인구 x 1,000

    • 분모, 분자 동일한 제한 적용
    • disease-specific rate(질병 특수율), cause-specific rate(원인별 특수율) : 특정 진단에 따라 비율에 제한 또는 특정 질병의 사망률로 제한

폐암의 연사망률 (인구 1,000명당) = 1년간 폐암 사망자 수 / 연앙인구 x 1,000
10세 미만 어린이의 백혈병 연사망률 (인구 1,000명당) = 10세 미만 어린이의 1년간 백혈병 사망자 수 / 10세 미만 어린이의 연앙인구 x 1,000

 

Case-Fatality Rates (치명률)

치명률(백분율) = 질병 발생 혹은 진단 후 특정 기간의 사망자 수 / 특정 질병을 가진 환자 수 x 1,000

      • 분모를 이미 질병을 가진 사람으로 제한
      • 분자는 특정 질병으로 사망한 사람으로 제한하는 것이 이상적 (사망 원인 구분이 쉽지 않음)
      • 질병의 중증도 측정치
      • 치료가 개선될수록 치명률 감소

 

Proportionate Mortality (비례사망률)

1999년 미국 심혈관계 질환의 비례사망률 (백분율) = 1999년 미국 심혈관계 질환 사망자 수 / 1999년 미국 사망자 총 수 x 1,000

      • rate(비율) 아닌 proportion(분율)
      • 질병의 사망 위험을 설명할 수 없음

 

Years of Potential Life Lost (잠재수명손실년수)

      • 사망의 다른 지표
      • 최근 건강의 우선순위 설정을 위해 사용이 증가
      • 계산 단계
        1) 각 사인에 대해, 미리 정해진 사망연령 - 일찍 사망항 사람의 연령
        2) 특정 사인별 통 YPLL을 산출하기 위해 각 개인의 '잠재수명 손실년수'를 합
      • 어떤 표준 사망연령을 선택했는지 주의
      • ex. HIV 감dua은 질병별 사망률 순위로 10위지만, YPLL 순위로 6위 : 젊은 사람들에게서 많이 일어남
      • 공중 보건의 3가지 중요 기능 [연구와 자원배분의 우선순위 선정, 조기사망의 시간적 추세 감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에 도움

 

Why Look at mortality? (사망률의 중요성)

      • 사망률은 1) 치명률이 높을 때, 2) 질병의 기간(생존기간)이 짧을 때 발생률을 보다 정확히 반영
      • 세밀한 진단방법 등으로 발생률은 증가해도 사망률은 변화 없음

 

사망 자료의 문제점

      • death certificate(사망신고서)에서 사망은 국제적 합의해 의해 원사인에 따라 코드화
        • 원사인(선행사인) : 직접이나 간접으로 사망에 이르게 한 일련의 병적 상태를 일으킨 질병과 손상 또는 치명적 손상을 일으킨 사고나 폭력 상황
          • 주어진 사망원인이 전체적으로 얼마나 기여했는지는 반영되지 않음
        • 사망원인의 분류는 WHO에서 발간한 국제표준질병사인분류(ICD)에 의해 이루어짐
          • ICD 개정에 따라 코드 범주와 규정이 변화
      • 질병의 정의 변화가 분류에 영향



여러 인구집단의 사망률 비교

      • crude or unadjusted mortality(조사망률; 전반적 사망률)는 사망률과 인구집단의 연령 구성 차이를 반영

 

Direct Age Adjustment (직접 연령 보정)

      • 비교하고자 하는 둘 이상의 인구집단 간 연령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표준 인구 사용
      • 가상적인 '표준인구'를 만들어 연령별 사망률 적용
      • 두 기간의 사망률을 단일 표준인구에 적용함으로써 관찰된 차이가 인구집단 내의 연령 차이로 야기될 가능성을 제거
      • 두 기간의 연령별 사망룰을 적용하여 기대사망자 수를 구하고 이것의 총 수를 표준인구로 각각 나누어 연령보정 사망률 구함
        • 연령 보정 사망률은 실제 연령별 특수율을 가상적 표준인구집단에 적용하여 산출됨로 가상적 수치
        • 실제 인구집단의 진정한 사망위험을 반영하지 않음

 

Indirect Age Adjustment (Standardized Mortality Ratios) (간접 연령 보정(표준화사망비))

        • 각 연령별 사망자 수를 구할 수 없을 때 사용
        • 직업적 노출 집단 연구시 사용
표준화 사망비 (SMR) = 연간 실제 관찰된 사망자 수 / 연간 기대사망자 수 x 100

 

The Cohort Effect (코호트 효과)

      • 코호트 : 같은 경험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
      • cross-sectional view (단면적 관점) : 연도별 자료를 보는 방법
      • 특정한 연도에 태어난 인구집단은 시간이 지나면서 함께 움직임
      • 관찰된 변화가 코호트 효과의 결과인지 고려

 

관찰된 사망률 변화의 해석

      • 사망률의 설명 가능한 경향이나 차이점 : 오류
        • 분자 : 진단 오류, 연령 오류, 코드화 규칙의 변화, 분류법의 변화
        • 분호 : 인구 수의 오류, 인구학적 특징 분류 오류, 위험 인구집단의 백분율 차이
      • 사망률의 설명 가능한 경향이나 차이점 : 사실
        • 발생률의 변화 없는 생존율의 변화
        • 발생률의 변화
        • 인구집단의 연령 구성의 변화
        • 위 요소들의 결합

 

미래의 질병 부담에 관한 연구

      • Global Burden of Disease (세계 질병 부담)
        • 1990년 당시 세계 모든 지역의 질병, 손상 및 위험 요인들에 의한 사망과 장애에 대한 포괄적 평가로써 2020년까지 예측/
        • 사망 뿐 아니라 조기 사망과 장애가 인구집단에 주는 영향 계량화
        • 전반적 질병부담을 표현하는 단일 지표 산출 목적
        • DALY(Disability Adjusted Life Year, 장애보정 생존년수)
          • 건강 수명의 손실년수
          • 조기사망으로 인한 수명의 손실년수와 아울러 특정한 중증도와 기간의 장애를 가지고 생존하는 연수의 합
        • 2020년에는 전염성 질환, 모성 및 주산기 건강과 영양 결핍(제1군)으로부터 기인되는 질병부담 극적 감소, 제2군(비전염성질환)과 제3군(손상) 질병부담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



결론

    • 사망률의 계량적 측정과 표현에 관한 접근법

'EPIDEMIOLIGY > Leon Gord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05. 진단 및 선별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  (0) 2020.02.20
연습문제  (0) 2020.01.06
Chap03. 질병발생의 측정: 1. 이환율  (0) 2020.01.04
Chap02. 질병 전파의 기전  (0) 2020.01.01
Chap01. 서론  (0) 2019.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