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및 선별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
- 질병의 전파와 발생을 이해하기 위해 질병이 있는 집단과 질병이 없는 집단으로 구별
- 기준점(cutoff)은 (통계학적 선택이 아닌) 생물학적 현상에 근거하여 정해야 함
- 대부분의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이산분포의 특징을 갖지 않으므로 경계역(gray zone)을 정하기 어렵고 그에 포함되는 대상자들의 구분이 어려움
Validity of Screening Tests (선별검사의 타당도)
검사결과 | 질병 있음 | 질병 없음 |
---|---|---|
양성 | TP(true positive) | FP(false positive) |
음성 | FN(false negative) | TN(true negative) |
- 검사의 타당도(validity) : 질병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능력
- 민감도(sensitivity) : 질병이 있는 사람을 실제 검사에서 질병이 있다고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능력
= TP / TP + FN - 타당도(specificity) : 질병이 없는 사람을 실제 검사에서 질병이 없다고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능력
= TN / TN + FP - 거짓 양성(FP) : 선별된 모든 사람에게 검사 수행으로 보건 의료체계 부담과 당사자의 불안 야기
- 거짓 음성(FN) : 효과적 중재가 필요한 심각한 질병일수록 치명적
- 선별검사의 기준 설정은 곧 거짓 양성과 거짓음성의 중요성 문제
여러 검사방법의 사용
Sequential (Two-stage) Testing (순차적(2단계) 검사)
- 덜 비싸고 덜 위험하고 덜 불편한 검사 먼저 수행 후, 결과가 양성인 사람들에게 추가검사를 시행함으로써 1차 검사결과로 인한 거짓양성의 문제를 줄임
Simultaneous Testing (동시 수행 검사)
- 총 민감도는 검사 A, 검사 B 또는 두 검사 모두 양성
- 총 특이도는 두 검사 모두 음성
검사 | 민감도 | 특이도 |
---|---|---|
1차 검사 | 80% | 60% |
2차 검사 | 90% | 90% |
순차적 검사 후 | 80% $\times$ 90% = 72% | 60% + ( 40% $\times$ 90%) = 96% |
동시 검사 후 | (80% $\times$ 10%) + (80% $\times$ 90%) + (90% $\times$ 20%) = 98% | 60% $\times$ 90% = 54% |
동시적 검사와 순차적 검사의 비교
- 순차적 검사 사용시 첫 검사보다 두번째 검사 수행시 총 민감도 감소, 총 특이도 증가
- 동시 검사 사용시 퉁 민감도 증가, 총 특이도 감소
Predictive Value of a Test (검사의 예측치)
- positive predictive value(양성 예측치) : 검사결과가 양성일 때, 실제로 질병이 있을 가능성
= TP / TP + FP - negative predictive value(음성 예측치) : 검사결과가 음성일 때, 실제로 질병이 없을 가능성
= TN / FN + TN
예측치와 질병유병률의 관계
- 유병률이 높을수록 양성 예측치 높음
- 고위험군 대상시 선별 프로그램 효과적
- 같은 검사라도 위험군(유병률)의 고저에 따라 다른 예측치를 가지므로 검사의 결과는 대상자가 포함된 인구집단의 유병률을 고려해서 해석되어야 함
검사의 양성 예측치와 특이도의 관계
- 특이도의 증가는 민감도 증가보다 더 큰 예측치의 증가를 가져옴
- 일반적으로 유병률이 낮으므로(드문 질병) 동일한 변화 시 더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
Reliability(Repeatability) of Tests (검사의 신뢰도(반복성))
개체 내 변이
Intraobserrer Variation(관찰자내 변이)
- 각 대상자 내에서의 변이
- 같은 관찰자가 수행한 두 개의 관찰 사이에서 발생(시점의 차이)
- 판독을 하는 주관적 요소가 클수록 높음
Interobserrer Variation관찰자간 변이
- 검사를 판독하는 사람들 간의 변이
- 두 검사자의 검사결과의 차이에서 발생
- 일치의 정도를 양적 크기로의 표현 필요
전체적인 일치백분율
판정 | 관찰자1: 양성 | 관찰자1: 음성 | 관찰자1의 판정 확률 |
---|---|---|---|
관찰자2: 양성 | $a$ (45) | $b$ (10) | 55(%) |
관찰자2: 음성 | $c$ (15) | $d$ (30) | 45(%) |
관찰자2의 판정확률 | 60(%) | 40(%) | 100 |
- 전체적인 일치백분율 = 두 관찰자 모두 일치된 결과 수 / 총 판독수 x 100
$$= \frac{a + d}{ a + b + c + d } \times 100 (\text{%})$$
- 일반적인 검사의 대부분은 음성결과이므로 두 관찰자 모두 음성으로 판정한 경우는 제외하고 일치백분율 계산. 즉, 두 관찰자에 의한 각 쌍의 결과 중 적어도 하나가 양성 판독일 때
$$일치백분율 = \frac{a} {a + b + c} \times 100 (\text{%})$$
Kappa statistics (카파 통계량)
$Kappa$
$$= \dfrac{\text{관찰자의 판정의 일치 정도가 우연에 의한 일치보다 얼마나 더 큰가?}}{\text{두 관찰자가 최대의 일치를 보이려면 우연에 의한 일치로부터 얼마나 더 일치해야 하는가?}}$$
$$= \dfrac{\text{(관찰된 일치백분율) - (우연에 의해 기대된 일치백분율)}} {\text{100 % - (우연에 의해 기대된 일치백분율)}}$$
- 관찰된 일치백분율 = 45 + 30 / 100 = 75%
- 우연에 의해 기대된 일치백분율
= ( 관찰자1의 양성 판정 확률 $\times$ 관찰자2의 양성 판정 확률 ) + ( 관찰자1의 음성 판정 확률 $\times$ 관찰자2의 음성 판정 확률 )
= (60% $\times$ 55%) + (40% $\times$ 45%) = 51%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 한 집단에 대해 타당함 $\neq$ 개인에게 적용시 타당함
- 검사의 신뢰도나 반복성이 낮을 때, 각 개인에 대한 검사의 타당성 낮음
- 진단과 선별 검사의 질 평가시 집단의 타당도와개인의 타당도 간의 차이 고려
'EPIDEMIOLIGY > Leon Gord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07. 예방 및 치료효과의 평가: 무작위 시험 (0) | 2020.02.24 |
---|---|
Chap06. 질병의 자연사: 예휴를 표현하는 방법 (0) | 2020.02.22 |
연습문제 (0) | 2020.01.06 |
Chap04. 질병발생의 측정 : 2. 사망률 (0) | 2020.01.06 |
Chap03. 질병발생의 측정: 1. 이환율 (0) | 2020.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