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조사의 이해]
1. 과학적 조사방법론의 의의
- 과학의 의미와 목적
- 과학의 의미: 아는 것 또는 아는 방법, 여러 현상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탐구하는 방법
- 과학의 목적
- 과학은 존재하는 것에만 관심을 갖고, 가치관이 개입된 당위에 대해서는 관심 갖지 않음
- 과학은 규칙성을 발견하고 알리는데 목적 - 현상을 관찰하고 이해하며 규칙성을 발견, 설명하기 위해 변수들 사이의 인과성을 밝히는 것이 중요한 과제
- 이론을 바탕으로 현상 예측의 목적
- 지식 형성의 방법
- 비과학적 지식 형성 방법
- 전통tradition에 의한 방법: 사회적으로 이미 형성되어 있는 선례나 관습, 습성에 의존한 방법으로 시대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지식의 방전이 거의 불가능
- 권위authority에 의한 방법: 권위의 원천이 서로 다른 경우 견해의 불일치 발생, 동일한 원천의 권위자들 간에서 문제 인식과 해결방법 상이
- 직관 intuition에 의한 방법: 분명한 명제에서 출발한 해결 방법이지만 명제가 반드시 자명성을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님 - 부정확한 관찰, 지나친 일반화, 선택적 관찰, 자기중심적 이해 등의 오류 발생. 직관은 시험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생각이 과학적 사고의 출발
- 과학적 지식 형성 방법
- 객관성과 논리성을 전제로 경험적 증거에 의해 지식을 획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나 절차
- 과학적 방법은 다른 방법들이 각기 지닌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여 신뢰서있고 체계적인 지식을 얻는 방법을 분명히 하고자하는 노력으로 이해
- 조사방법/연구방법: 과학적 방법을 통해 의문이나 문제를 해결하거나 이를 위한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이나 절차
- 과학적 지식의 특징
- 객관성: 건전한 감각기관을 가진 다수의 사람ㄷ르이 하나의 대상을 같게 인식하고 그로부터 얻은 결과가 일치하는 것
- 반증가능성: 검증하려는 가설이 실험이나 관찰에 의해서 반증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
- 재생가능성: 같은 방법을 사용했을 때 누구나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
- 비과학적 지식 형성 방법
- 과학적 조사의 의의
- 조사: 실제적인 것이든 학문적인 것이든 의문이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는 과정
- 과학적 조사: 연구문제를 해결하거나 이를 위한 지식을 얻기 위해, 일반현상 가운데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가설적인 명제들을 체계적, 통제적, 경험적, 비판적으로 탐구하는 활동
- 과학적 조사의 전제
- 모든 현상에는 질서와 규칙이 있다.
- 모든 현상은 이해될 수 있다.
- 모든 현상에는 원인이 있다.
- 자명한 지식은 없다.
- 과학적 지식은 상대적이다.
- 과학적 지식은 경험에 기초한다.
- 과학적 조사의 특징
- 논리적이어야 한다.
- 객관적이어야 한다.
- 상호주관적이어야 한다.
- 체계적이어야 한다.
- 경험적으로 입증 가능해야 한다.
- 재생 가능해야 한다.
- 일반화가 가능해야 한다.
- 수정이 가능해야 한다.
- 과학적 조사의 논리체계
연역적 논리에 의한 추론 방법 | 귀납적 논리에 의한 추론 방법 |
가설 -> 조작화 -> 관찰 -> 검증(가설 채택/기각) | 관찰 -> 유형발견 -> 잠정결론 |
선 이론 후 조사 | 선 조사 후 이론 |
결론의 타당성이 전제의 타당성에 달려 있음 | 결과는 관찰에 의해 만들어진 유형으로 잠정적 결론 |
구성의 오류 | 인과의 오류 |
2. 과학적 조사의 목적과 유형
- 과학적 연구의 목적
- 기술 description: 연구문제나 연구대상이 되는 사건이나 현상의 속성을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묘사하여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
- 설명 explanation: 기술의 차원을 넘어, 그 사건이나 현상이 발생하게 된 원인(요인)이나 이유, 즉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
- 예측 prediction: 미래에 일어날 사건이나 현상에 대한 언명. 이미 알려진 가설로부터 미지의 사건이나 현상을 연역하거나, 사건이나 현상의 발생순서에 기반을 두고 미래의 결과 예상
- 통제 control: 어떤 현상을 결정하는 조건을 조작하는 것으로 어떤 사건이나 현상의 원인 또는 선행조건을 조작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가게 하는 것
- 조사의 목적에 따른 분류
- 탐색적 조사: 조사하고자 하는 주제가 새로운 것이거나, 그 주제에 대한 자료가 별로 없는 경우, 앞으로 진행할 조사에 앞서 실시하는 예비조사 pilot study로서 문헌조사, 경험자 조사(전문가 의견 조사), 특례조사(사례조사의 하나) 등
- 기술적 조사: 사회현상에 대한 기술을 목적으로 하거나, 사회현상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
- 설명적 조사: 사실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거나(진단적 조사) 미래의 사실에 대해 예측하는(예측적 조사) 조사
탐색적 조사 | 기술적 조사 | 설명적 조사 | |
조사내용 | 기초적 사실, 배경 및 관심사에 친숙해짐 앞으로의 연구수행을 위한 연구문제의 형성 새로운 아이디어와 가설의 설정 연구의 실행가능성 검토 미래의 자료측정기법 개발 및 소재 파악 |
상세하고 매우 정확한 그림 제공 과거 자료와 모순되는 새로운 자료 찾음 일련의 범주 개발 또는 유형 분류 진행단계의 순서를 분명하게 밝힘 인과적 과정 및 메커니즘의 기록 상황의 배경 또는 맥락의 보고 변수 간 상관관계의 확인 |
이론적 예측 또는 원칙의 검증 이론의 설명을 정교화하고 풍부하게 함 이론을 새로운 이슈와 토픽에 확장 설명 또는 예측을 입증하거나 반박 이슈 또는 토픽을 일반이론과 연계 몇 가지 대립적 설명들 중 최선의 설명 결정 |
조사방법 | 문헌조사 전문가 의견 조사 사례연구 비표준화 질문 |
횡단조사 종단조사 표준화 질문 |
실험연구 정밀한 관찰 |
조사결과 | 질적 정보 중심 가설탐색에 활용 |
계량적 정보 중심 기술통계분석 |
계량적 정보 중심 정밀한 인과관계 통계분석 |
- 조사 시점에 따른 뷴류
- 횡단적 조사 cross-sectional study: 어느 한 시점에서 사람이나 상황의 표본 혹은 단면을 관찰하는 것
- 종단적/다시점 조사 longitudinal study: 동일한 현상에 대해 장기간 관찰하기 위한 연구설계로, 시점을 달리하여 동일한 분석단위에 대한 측정을 되풀이하는 것 - 추세조사/경향조사, 시계열 조사, 코호트조사/동년배조사/동시경험집단조사, 패널조사/동일집단 반복조사
- 자료수집의 성격에 따른 분류
양적 조사 | 질적 조사 |
계량적 / 축소주의적 / 결과지향적 | 확장주의적 / 과정지향적 |
정형화된 측정과 척도 사용 | 조사자의 준거틀 사용 |
조사가 객관적으로 수행 | 통제되지 않은 자연상태에서 주관적으로 수행 |
가설 점증, 사실 확인, 추론 지향 | 탐색, 발견, 서술 지향 |
연역법 사용 | 귀납법 사용 |
논리실증주의 | 형상학, 해석학 |
조사결과의 일반화 가능 | 조사결과의 일반화 어려움 |
조사대상이 안정적이라 가정 | 조사대상이 동태적이라 가정 |
신뢰성 있는 경성자료 hard data 산출 | 타당성 있는 실질적이고 깊이 있는 자료 산출 |
3. 과학적 조사의 절차 및 계획
- 문제 제기
- 조사설계 - 규정된 문제에 대한 종합적 검토, 사용할 조사 방법 제시, 예산 편성 및 조사 일정 계획 수립, 조사설계 평가 과정 수행
- 자료수집
- 자료 수집 방법 결정: 1차 자료, 2차 자료
- 설문지 작성
- 조사 대상자 선정 및 자료 수집
- 자료 분석, 해석 및 이용
- 보고서 작성
[연구 문제와 가설]
1. 연구문제의 형성
- 유형
- 규범적 질문
- 기술적 질문
- 관계형 질문
- 원천
- 기존 지식의 미비
- 사회적 요청
- 개인적 경험
- 과정
- 연구주제 선택
- 연구목적 규정
- 연구문제 진술
- 연구가설 설정
2. 문헌검토
- 의미: 문제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가설 정립을 위한 가장 경제적이고 빠른 방법
- 목적
-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한정
- 연구문제 해결을 우한 새로운 접근방법 탐색
- 조사설계의 오류 방지
- 연구수행의 새로운 아이디어 발굴
- 새로운 자료원에 접할 기회 제공
3. 이론 theory
- 의미: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할 목적으로 변수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현상에 대한 체계적 견해를 제공하는 일단의 상호관련된 개념(변수), 정의, 명제(진술) 등
- 논리적 구조
- 개념(변수)은 이론의 기초가 되는 구성요소
- 하나의 명제는 두 개 이상의 개념들의 관계를 구체화하는 진술
- 상호 의존된 둘 이상의 명제들이 하나의 이론을 구성
- 성격
- 이론의 기본적 구성요소는 개념들이다.
- 이론을 구성하고 있는 개념들은 법칙(일반론)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 이론은 경험적 의미를 지닌다. 즉, 경험적으로 이해되고 검증될 수 있어야 한다.
- 관련 개념
- 모형 model : 현실세계의 본질적 특징을 부각하면서 현실세계를 질서있게 정돈하고 단순화한 것
- 패러다임 paradigm: 특정 과학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세계관, 신념체계 및 연구 과정의 치계, 즉 개념적, 이론적, 방법론적, 도구적 체계를 지칭
- 이데올로기 ideology: 특정집단이 공유하는 폐쇄적인 신념 및 가치체계
- 역할
- 일련의 개념들 간 상호 관련성을 구체화함으로써 현상에 대한 이해와 설명을 통해 현상들을 예측하거나 통제하는데 도움
- 과학적 연구의 기본적인 토대 제공
- 과학적 지식을 간단명료하게 표현해줄 뿐만 아니라 불확실한 명제, 가설 등에 대한 판단의 기준
- 기존 지식 간의 틈을 메워주는 역할 뿐만 아니라, 다른 경험적 연구를 하지 않고서도 관련된 새로운 이론의 도출을 어느정도 가능하게 함
- 평가기준
- 정확성 accuracy: 가능한 한 많은 변이를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 일반성 generality: 적용되는 사회현상의 범위가 커야 한다.
- 간결성 parsimony: 주어진 사건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독립변수의 숫자가 적어야 한다.
- 인과성 causality: 현상을 설명하는 원인변수 이오에 새로운 변수들이 첨가되어도 설명 유형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4. 변수
- 개념
- 어떤 현상이나 사실에 대해 갖게 되는 생각으로 '특정한 현상(구체적인 것)드을 일반화시켜 형성한 추상적 관념(용어)'
- 구성개념 construct: 연구자가 특정한 연구를 위해 의도적으로 개발, 선택하여 추가적인 의미를 부여한 개념으로 이론적 체계 내에서 다른 구성개념과 여러 가지 방법으로 관련되거나 연구활동의 수행상 관찰과 측정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
- 역할
- 직접 감지할 수 없느 눛상적 현상들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 - ex. 정부, 국민, 주권, 민주주의, 목적
- 언어나 기호로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지식의 축적이나 확장을 가능하게 참
- 연구의 출발점과 방향 제시
- 조작화를 텅해 연구문제에 대한 범위와 주요 변수를 제시해줌으로써 연구대상을 가시적이고 측정가능하게 함
- 연역적 결과를 가져옴
- 구비조건
- 한정성/명확성
- 통일성
- 범위의 적정성
- 체계적 의미성
- 변수
- 둘 이상의 값을 갖는 경험적 송성을 지닌 개념
- 경험적으로 측적 가능하도록 전환된 개념
- 그 속성에 계량적인 수치를 부여할 수 있는 개념
- 특정 대상의 속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개념과 같으나, 경험적 세계의 측정 가능한 속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개념과 구분
- 종류
- 독립변수: 종속변수의 논리적 선행조건으로 원인/설명/예측변수. 연구자에 의해 조작된 변수, 처리 treatment
- 종속변수: 독립변수가 변화하면 그 영향을 받아 일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로 결과/피설명/반응/의존변수
- 조절변수 mediating variable: 두 변수의 관계를 조절하거나 영향을 미쳐 그 관계를 강화/약화시키는 변수 - 기대보다 약한 관계 또는 관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이를 검토하는 방법으로 주로 사용
- 매개변수 intervening variable: 독립변수와 종속변소 사이에서 독립변수의 결과인 동시에 종속변수의 원인이 되는 변수로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는 이유(메커니즘)를 설명. 기대보다 관계가 강하게 나타날 경우 분석하는 방법으로 고려
- 선행변수 antecedent variable: 인과관계에서 독립변수에 앞서면서 독립변수에 대해 유효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
- 외재변수(외적변수) extraneous variable: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가 표면적으로는 인과적 관계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에도, 실제로는 두 변수가 우연히 어떤 다른 변수와 연결됨으로써 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제3의 변수 - 다른 변수의 영향을 제거하면 두 변수 간의 인과관계가 사라지거나 약해질 수 있음
- 허위변수 spurious variable: 원인변수와 결과변수 모두에 영향을 미치며, 이들 사이의 공동변화를 모두 설명하는 변수
- 혼란변수 confounding variable: 원인변수와 결과변수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들 사이의 공동변화를 모두 설명하지는 못하는 변수
- 억압변수(억제변수) suppressor variable: 두 변수가 서로 관계가 있는데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게 하는 제3의 변수
- 왜곡변수 distorter variable: 두 변수의 사실상 관계를 정반대의 관계로 나타나게 하는 제3의 변수
- 통제변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관계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적절히 통제된 변수 - 매개변수, 외재변수, 억압변수, 왜곡변수 등이 해당. 통제변수를 고정시킬 경우 두 변수의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
- 잠재변수 latent variable: 실제 관측되지 않는 추상적 개념
- 조작적 정의
- 실증적 연구를 위한 현상에 대한 측정을 통해 특정 변수의 상태와 변수의 관계 분석 가능
- 조작화 operationalization: 실제 현상에서 측정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는 작업 - '변수가 어떻게 측정되는가'를 기술하는 것
- 조작화의 결과 변수는 지표 indicator 또는 지수 index의 형태로 나타나게 됨
- 조작화의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개념이나 변수를 경험적으로 특정하는 방법 규정 가능
5. 개념적 준거틀
- 개념적 준거틀 / 개념틀 conceptual framework : 연구문제들에 포함된 개념 및 변수들을 구성요소로 하고 이들의 관계를 연결하여 구성한 하나의 시스템으로 이론적 준거틀 혹은 개념적 모형
- 기능
- 고려해야할 변수와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 연구범위를 한정한다.
- 개념 간 관련성을 해석하는 기준이 된다.
- 가설을 연역해 낼 수 있는 전제가 된다.
새로운 연구에 대한 아이디어 도출
- 구성과정
- 구성요소(개념 및 변수)의 식별방법: 연구자의 아이디어, 동료연구자와 토론, 기존이론의 재검토, 기존 자료세트의 검색
- 개념(변수) 간 관계설정: 대칭적 관계, 상호인과적 관계, 비대칭적 관계
- 변수의 위치에 따른 변수의 유형 결정
- 개념적 준거틀/이론적 모형의 구성
6. 가설
- 의의
- hypothesis: 연구문제에 대하여 연구자가 내린 잠정적 해답
- 둘 또는 그 이상의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가정적 진술
- '만약 ~하면 ~할 것이다' 의 구조
- 가설은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어야 한다.
- 가설은 변수로 구성되면, 그것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야 한다.
- 가설을 검증될 수 있어야 한다.
- 표현 방식과 내포하고 있는 변수들의 관계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를 가진다.
- 사회과학에서 가설로 사용되는 문장은 종합적 문장으로, 가설로 설정된 문장은 참인지 거짓인지를 밝혀내서 현실세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문제를 해결하 수 있어햐 한다.
- 유형
일반 가설 | 지엽적 가설 |
모든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가설에 내포된 변수들 간의 관계가 적용 | 특별한 경우에만 적용 |
식별 가설 | 설명적 가설 |
사실을 밝히는 가설로서 '무엇'에 대한 해답을 구한다. "~은 ~이다" 형식의 문장 |
인과관계를 밝히는 가설로서 '왜'에 대한 해답을 구한다. "만일 ~하면 ~하다.", "~할수록 ~하다" 형식의 문장 |
귀무가설/영가설 | 대립가설/연구가설/작업가설 |
실제 검증대상이 되는 가설로서 연구가설과 반대의 입장의 진술이다. "A와 B는 관계가 없다" 형식의 문장 기존에 통용되던 보수적 가설 |
연구문제에 대한 잠정적 해답이다. "A와 B는 관계가 있다" 형식의 문장 자료로부터의 강력한 증거에 의해 입증하려하는 새로운 주장을 담은 가설 |
단순 가설 | 복합 가설 |
사용되는 변수의 수가 1개 또는 2개인 가설 | 사용되는 변수의 수가 3개 이상인 가설 |
기본가설 | 종속가설 |
하나의 줄거리가 가설로서 연구문제에 보다 가깝다. | 기본가설을 여러 측면에서 검증하기 위해 작성되는 세분화된 가설이다. |
- 평가 기준
- 가설은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 동일 연구 분야의 다른 가설이나 이론과 연관이 있어야 한다(이론적 준거성).
- 가설의 표현은 간단명료해야 한다.
- 연구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 논리적으로 간결해야 한다.
- 계량화할 수 있어야 한다.
- 가설 검증 결과는 가능한 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 경험적 검증이 필요 없는 당연한 관계는 가설로 세울 수 없다.
- 가설은 동어반복이어서는 안된다. 서로 다른 두 개념이나 변수의 관계를 표시해야 한다.
- 유용성
- 사회현상의 잠재적 의미를 찾아내고 현상에 패턴을 부여할 수 있다.- 가설은 현상에 규칙적인 질서를 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부여한다.
- 연구에 대한 자극으로 새로운 연구문제를 도출해낸다.
- 경험적 검증 절차를 시사해준다.
- 문제 해결에 필요한 관찰과 실험의 적정성을 판단하게 된다.
- 관련 지식을 서로 연결해준다.
7. 분석단위
- unit of analysis: 조사대상으로서, 누구 또는 무엇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인가의 문제
- unit of observation: 직접적인 조사대상
- 분석단위의 오류
- 생태학적 오류 ecological fallacy: 집단이나 집합적 단위에서 연구해서 얻은 결론을 다른 수준의 분석단위(개인 또는 하위단위)에 적용해서 발생하는 오류
- 환원주의적 오류 reductionism (개인주의적/개체주의적 오류): 개인을 분석단위로 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집단, 사회, 또는 국가의 특성을 추론할 때 발생. 개체수준의 연구결과를 집단수준의 연구결과로 환원시킬 때 발생하는 오류
[조사윤리와 현장조사]
1. 조사윤리(연구윤리)
- 조사윤리: 연구자가 속한 학문공동체가 자율적으로 연구의 전 과정에서 지켜야할 덕목으로 사회과학에서의 윤리는 연구자가 조사대상의 권리와 복지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햐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 대부분의 윤리문제는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이나 이의 활용헤서 조사대상의 인권을 침해하는 형태로 발생
- 연구결과
- 조사대상자에 대한 익명성 보장
- 자료원에 대한 비밀보장
- 연구결과의 사용권한(표절 문제)
- 연구 부정행위 유형
- 날조 forging 위조 fabrication: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 도는 조사결과를 허위로 만들어내는 행위
- 변조 falsification: 조사자료나 조사과정 등을 인위저긍로 조작하거나 데이터를 임의로 변형/삭제함으로써 조사 내용 또는 결과를 왜곡하는 행위
- 표절 plagiarism: 타인의 아이디어, 연구내용 및 결과 등을 정당한 스인 또는 인용 없이 도용하는 행위
- 이중게재: 이전에 출판된 자신의 아이디어, 연구내용 및 결과 등을 밝히지 않고 중복 게재 내지 이중 출한하는 경우
- 부당한 저자 표시
2. 개인정보보호
- 종류
- 일반적 정보: 주민등록번호,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
- 정신적 정보: 기호, 성향, 신념, 사상 등
- 통신 위치 정보: 통화, IP주소, GPS 등
- 신체적 정보: 신체정보, 의료 및 건강정보
- 사회적 정보: 교육 정보, 근로 정보, 자격 정보
- 재산적 정보: 개인 신용정보, 부동산 및 주식 정보 등
- 개인정보 처리단계별 체크리스트
구분 | 내용 |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 필요 최소한의 개인정보 수집 주민등록번호는 법령에 근거아 있는 경우 처리 가능 만 14세 미만 아동의 법정대리인 동의 동의받을 떄는 고지의무 사항 준수 |
개인정보의 제공 | 당초 수집 목적 외에 용도로 이용/제공 금지 개인정보 처리 업무위탁은 반드시 문서로 진행 수탁자에 대한 교육 및 감독 철저 |
개인정보의 관리 및 보관 | 개인정보의 암호화 보관 및 접근권한, 접속기록 점검 내부관리계획 수립/이행 연 1회 이상 점검 개인정보파일 현황 정기적 파악 및 행정안전부 등록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 목적 달성, 보유기간 경과 즉시 파기 복구/재생되지 않도록 철저히 파기 |
[조사설계]
1. 의의
- research design: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도록 구상된 계획으로서, 조사 전체를 수행하고 통제하기 위한 하나의 청사진 또는 윤곽
- 연구문제와 모형/가설 등에 대한 검토, 조사에 이용된 조사방법의 제시, 전반적인 조사골격의 수립, 자료수지방법 및 자료분석기법 결정 등과 같은 실질적인 조사활동뿐만 아니라, 조사일정의 작성과 예산의 편성 등과 같은 부수적이 관리활동까지 포함
- 연구문제에 대해 일정하게 한정된 해답만을 제공 - 관련되는 개념의 인지 및 통제 등에 있어 한계 존재
- 특징
- 어떤 연구문제에 대해 유일하고도 완전한 설계는 존재하는 않는다.
- 조사에 관련된 여러가지 다양한 실제적 요인을 고려한 하나의 타협안
- 조사 상황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가설의 개발이나 조사 설계의 수정/보완이 수시로 가능
- 목적
- 특정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가능한 타당하고 객관적이며 정확하고 경제적으로 강구하기 위한 것
- 조사와 관련없는 변수들의 영향을 적절히 통제하기 위한 것
- 내적/외적 타장성이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것
- 가설 검증에 필요한 표본 추출과 자료 수집/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
2. 인과관계의 추론
- 유형
- 비대칭적/쌍방적 인과관계
- 정/부/복합 인과관계
- 직접/간접 인과관계
- 조건
- 연관성/공동변화 (공변관계): 변수 X와 변수 Y가 공동변화한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
- 시간적 선후성: 현상 발생의 시간적 선후관계를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
- 비허위성/비허위적 관계/제3변수 배제 - 원인변수 이외에 다른 변수로 결과를 설명할 수 없는 관계: 허위관계의 가능성을 배제시킬 수 있어야 한다.
- 추리근거
- 일치법
- 특정 현상이 발생하는 둘 이상의 사례에서 단 하나의 공통요인만을 가지고 있다면 그 요소는 그러한 특정 현상의 원인(또는 결과)이다.
- 불필요한 요소를 배제해 주어 추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 제3의 설명 가능성으로 조건들이 설명에 포함되지 않는다.
- 차이법
- 특정 현상이 발생한 사례와 발생하지 않는 사례가 있을 떄, 두 사례 간에 단 하나의 요소를 제외한 모든 요소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면 그 요소는 특정 현상의 원인(또는 결과)이다.
- 사례 간의 유사함은 극대화시키고, 상이함은 극소화시킬 수 있을 때 적용하기 용이하다.
- 간접적 차이법 / 일치차이결합법
- 특정 현상이 발생하는 둘 이상으 사례에서 하나의 공통 요소만을 가지고 있고, 그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둘 이상의 사례에서 그러한 공통요소가 없다는 점 외에 공통사항이 없다면 그 요소는 그 현상의 원인(또는 결과)이다.
-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공통적으로 나타나면서, 발생하지 않는 경우엔 결과도 나타나지 않는 조건을 원인으로 보는 것이다.
- 잔여법 : 어떤 현상에서 귀납적 방법의 적용으로 인과관계가 이미 밝혀진 부분을 제외할 떄, 그 현상에서의 나머지 부분은 나머지 선행요인의 결과이다.
- 공동변화법/공변법
- 어떤 현상이 변화할 떄마다 다른 현상에 특정한 방법으로 변화가 발생한다면 그 현상은 다른 현상의원인 또는 결과이거나, 일정한 인과관계의 과정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 어떤 가설적 원인의 양이 증가 또는 감소할 때 어떤 결과 현상에 변화가 나타나는 경우 이를 토대로 인과성을 추론하는 방법
- 일치법
3. 실험설계/실험조사
- 의의
- 실험설계의 의미: 복잡한 사회현사 중에서 조사 목적상 관심이 있는 요소(변수)만을 선별해 그것들 간의 인과관계를 집중적으로 관찰, 분석하는 방법
- 실험의 개념: 조사자가 하나 이상의 독립변수를 의식적으로 조작하거나 외생변수를 통제하여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거나 독립변수로 인한 종속변수의 변화 상태를 관찰하는 것
- 실험의 특징
- 실험은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변수를 조작하고 통제하려는 것
- 연구대상과 관련된 여러 변수 간의 인과관계 또는 인과성을 주로 파악
- 보다 체계적이고 정밀하게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독립변수를 의식적으로 조작한다는 측면에서 실태조사survey와 다름
- 문헌조사, 경험조사, 사례조사 등과 같은 사후연구 ex post research는 과거지향적인데 비해 실험은 미래지향적
- 목적
- 순수하고 오염되지 않은 통제된 조건하에서 독립변수오 종속변수 간의 관계 파악
- 기존의 이론이나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된 명제나 가설에 대해 검증
- 기존의 이론체계를 정립하는 데 궁극적 목적
- 새로운 가설이나 연구문제를 발견하는 데 기여
- 종류
실험실 실험 | 현지 실험 | |
내적 타당도 | 높음 | 낮음 |
외적 타당도 | 낮음 | 높음 |
비용 | 적음 | 많음 |
시간 | 적음 | 많음 |
실험설계 | 서베이 설계 |
의식적으로 하나 이상의 독립변수를 조작하여 일정한 연구 집단을 노출시킴으로써 종속변수의 변화 상태를 관찰하는 방법 | 설문지, 면접, 전화 등을 이용하여 응답자가 조사 문제와 관련된 질문에 답하에 하여 실증적인 자료를 수집/분석하는 방법 |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 변수를 조작하고 외생 변수를 통제 | 변수의 조작이나 통제가 불가능하므로 변수들 간의 관계규명에 내적 타당성이 결여될 가능성 있음 |
인과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미래적 상황을 사전적으로 탐색하는 연구이며, 변수 간의 발생순서나 독립변수의 영향을 명확히 규정할 수 있음 | 인과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사후적 연구(역ㄹ과를 관찰하고 원인을 탐색)를 수행하기 때문에 변수 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정할 수 없음 |
연구대상자 수가 적어 양적으로 많은 정보를 얻기 어려움 | 많은 사람들로부터 양적으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장기간에 걸쳐 수행될 수 있으므로 시계열적 자료 획득 가능 | 횡단조사를 시행하고 종료하기 때문에 시계열적 정보를 얻기 어려움 |
실험실 실험의 경우 현실성이 부족하지만 현지실험은 현실을 적절히 반영할 수 있음 | 현실적인 상황 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실을 반녕하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음 |
한 번에 3개 이상의 독립변수를 조작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변수에 관한 자료를 얻기 어렵고, 연구주제도 단편적 | 연관성 있는 여러 변수들에 관한 자료를 한 번의 조사를 통해서 얻을 수 있고, 다양한 주제에 대해 연구 할 수 있음 |
- 실험설계 장점
-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규명할 수 있다.
-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연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실험상황의 재조성에 의한 반복적 연구가 가능하여 연구의 보편성과 일반성을 높일 수 있다.
- 실험설계 단점
- 현실성의 결여로 연구결과 일반화하기 애매한 경우가 있다.
- 윤리적 문제가 있고, 복잡한 사회현상을 단순한 실험이라는 방법을 통해 규명하려는 데 근본적 한계가 있다.
- 기본조건
- 독립변수의 조작
- 외생변수 통제
- 실험 대상 무작위화
인과관계의 조건 | 실험설계의 원리 (구성요소) |
연관성(공동변화) | 비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측정 |
시간적 선후성 | 조작: 처리(독립변수의 개입) |
비허위성(제3변수 배제) | 통제: 무작위 배정을 통한 내적/외적 타당성 저해요인 제거 |
- 타당성
- 내적 타당성
- 측정된 결과가 실험변수의 변화 떄문에 일어난 것인가에 관한 문제
- 저해요인
- 우연한 사건/역사요인: 사전조사와 사후조사 사이에 발생한 통제 불가능한 사건이 미치는 영향
- 성숙효과 또는 시간적 경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연구 대상의 특성변화
- 실험효과/검사: 사전검사에 대한 친숙도가 사후측정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나타나는 차이 (학습 효과)
- 선별효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차이
- 조사도구 효과: 측정기준과 측정수단이 변화함에 따라 나타나는 왜곡현상
- 통계적 회귀: 극단적인 측정값을 갖는 사례들을 재측정할 대, 평균값으로 회귀하여 처음과 같은 극단적인 측정값을 나타낼 확률이 줄어드는 현상
- 실험대상의 상실 혹은 소멸: 실험기간 중 일부가 탈락 또는 상실됨으로써 남아 있는 대상이 처음의 관찰대상집단과 다른 특성을 갖게 되는 현상
- 선택과의 상호작용, 인과관계 방향의 모호성, 실험변수 혹은 개입의 확산 또는 모방
- 제고 방안
- 제거: 외생변수가 될 가능성이 있는 변수를 제거하여 외생변수의 영향을 실험 상황에 개입하지 않도록 한다.
- 균형화/짝짓기/매칭: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외생변수가 각 집단에 균등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하는 방법
- 상쇄: 하나의 실험집단에 2개 이상의 실험변수가 가해지는 경우에 사용. 처음효과와 나중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순서를 서로 균등하게 바꾸어 실험함으로써 순서에 의한 효과를 상쇄하는 방법
- 무작위화/무작위배정: 조사대상을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추출함으로써 연구자가 조작하는 독립변수 이외의 모든 변수들에 대한 영향력을 동일하게 하여 동질적인 집단으로 만들어 준다.
- 외적 타당성
- 실험 결과의 일반화와 관련된 문제로서 결과의 적용 대상, 시점, 상황의 확장과 관련
- 저해요인: 표본의 대표성 저해, 실험조사에 대한 반응성
- 제고 방안: 확률표집법(무작위표집법) 선정, 가실험 통제집단설계 방법 사용
- 내적 타당성
- 실험설계의 종류
구분 | 사전실험설계 | 순수실험설계 | 유사실험설계 | 사후실험설계 |
의의 | 가설의 검증보다 순수실험설계를 하기 전 문제의 도출을 위해 시험적으로 실시하는 탐색조사의 성격 | 독립변수의 조작, 측정 시기와 측정 대상에 대한 통제 등이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가능한 실험설계로, 외생변수의 영향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설계 | 무작위배정에 의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등화를 꾀할 수 없을 댸 사용하는 설계방법 | 독립변수를 조작할 수 없는 상태 또는 이미 노출된 상태에서 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방법 |
대상의 무작위화 | X | O | X | X |
독립변수의 조작 가능성 | X | O | ㅅ | X |
외생변수의 통제 정도 | X | O | ㅅ | X |
측정(시기 및 대상) 통제 | X | O | O | X |
종류 | 단일집단 사후측정설계 단일집단 사전사후측정설계 정태집단 비교설계 |
사전사후측정 설계 통제집단 사후측정 설계 솔로몬의 4집단설계 |
비동질적 통제집단설계 단절적 시계열설계 통제-시계열설계/복수시계열설계 |
현장연구 회고연구 전망연구 기술연구 |
기호 및 용어 | 의미 |
EG : 실험집단 (Experiment Group) | 실험적 처리가 이루어지는 집단 |
CG : 통제집단 (Control Group) | 무작위배정의 실험적 처리가 없는 실험집단과 비교되는 집단 |
R : 무작위배정 (Randomization) |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연구대상을 무작위적으로 배정 (무작위추출 등) |
M : 짝짓기 (Matching) |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연구대상을 짝짓기방법에 의해 배정 |
X : 실험처리 (Treatment) | 실험적으로 조작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변수 |
O : 관찰/측정값 (Observation) | 종속변수에 대한 측정값 |
E : 실험효과 (Effect) | 실험변수 처리효과의 크기 |
4. 단일사례조사
- 개인 및 가족, 소집단 등을 대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입 - 문제가 되는 조사 대상자의 표적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자극, 환경변화, 행사 등 - 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것
- 특징
- 개입효과의 규명
- 하나의 대상 또는 사례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관찰하여 개인의 효과를 평가
- 조사대상이 개인 또는 집단
- 반복측정
- 즉각적 환류
- 과정
- 문제의 확인/규성
- 변수 설정
- 측정대상의 결정
- 개입목표의 설정
- 조사설계
- 조사실시
- 개입의 평가/자료분석
- 구조
- 기초선 단계: 게입하기 전 단계
- 개입 단계: 표적 행동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지는 기간
- 유형
- AB 조사: 가장 기본적 유형으로 기초선 단계 자료와 개입 단계 자료의 비교를 통해 개입의 효과를 평가
- ABAB 조사: AB조사의 내적타당도 저해 요인 통제 능력 부족 문제를 어느정도 해소
- 복수기초전조사/다중기초선설계
'STATISTICS > 사회조사분석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척도 (0) | 2020.09.12 |
---|---|
2-2. 측정 (0) | 2020.09.11 |
2-1. 표본추출방법 (0) | 2020.09.10 |
1-3. 설문지 설계 및 자료 처리 (0) | 2020.09.09 |
1-2. 자료수집방법 (0) | 2020.09.09 |